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20180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prairiehousefreem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prairiehousefreem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현대사주철학원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718회 및 384987 Like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펌) 자미두수로 외모보는 방법,,tip – 디시인사이드

자미두수 형성부- 정성이나 보좌성이 명궁에 있을 때 생김새가 어떠한가, 성품이나 기질은 어떠한가에 대해서 논한 부분이다.1….

+ 더 읽기

Source: m.dcinside.com

Date Published: 10/23/2021

View: 258

[자미두수] 자미두수 배우자 보는 법 (1.궁의 역할)

자미두수의 강점이자 특징이 12궁으로 이루어졌고 삼방사정으로 각각의 궁에 … 부처궁으로는 배우자의 기질, 특징, 직업, 외모를 보게 되는데 가장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luminaries.tistory.com

Date Published: 6/9/2022

View: 1711

자미두수 14주성별 성격과 이상형 – 너나들이 for you

자미두수 14주성별 성격 특징과 이상형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미두수는 중국 송나라 진희 … 부처궁 천기- 천량이 동궁하면 나이많은 배우자가 좋다.

+ 여기를 클릭

Source: cookie6.tistory.com

Date Published: 12/14/2022

View: 3637

결혼하고 싶은 이상형에 대해서… (2) – 네이버 블로그

2) 부처궁에 자미천부가 동궁하는 경우에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 매우 까다로워지게 … 3) 외모나 학식보다는 의리를 지킬 줄 아는 남자를 갈망한다.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4/2021

View: 7811

자미두수에 관한 모든 것 – 덕밍아웃

남성의 경우 외모가 특출하며,자신에 일에 최선을 다하는 일등 신랑감의 조건들을 두루두루 갖춘 사람이다. 허나 배우자의 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여성 …

+ 여기를 클릭

Source: duckming.com

Date Published: 3/30/2022

View: 7238

왕초딩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 Daum 카페

왕초딩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 어떤 여자가 미혼이고 남자 친구도 없는데, 언제 結婚하겠느냐고 묻는다. 만일 내년에 결혼할 것이라 하였는데, 다시 …

+ 여기를 클릭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2/11/2022

View: 1626

자미두수 갤러리: 펌) 첫인상과 외모를 좌우하는 상승궁 알아보기

stargazer 님 이제 탈갤함? 자미두수로 미래의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을 알수있는가? 점성술 이야기. 루시드의 점성술 칼럼 – 첫인상이 차가운 별자리는? 점성학 상승궁에 …

+ 여기를 클릭

Source: their.liekaneccenira.tk

Date Published: 6/29/2021

View: 7637

별자리 상승(어센던트, 라이징)에 따른 외모 특징 정리! (1)

애정운 Married 배우자와의 사이에 상냥함이 필요한 시기. 약점은 위장. 달은 모성애, 감성, … 이번에 이사가면서 자미두수가 진짜 맞는구나라는걸 느낀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ontain.orominiminev.ga

Date Published: 12/1/2021

View: 4404

사람찾기 자미두수풀이의 미리배우자얼굴 – 결혼수와 궁합

사람찾기 자미두수풀이의 미리배우자얼굴 배우자얼굴 외모, 성격, 직업 사람찾기 ㆍ배우자 외모의 특징 외관상이 모습(키,몸무게,맞는 띠등을 포함한 얼굴모습)

+ 더 읽기

Source: meloveun.unsetotal.com

Date Published: 6/30/2021

View: 913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 Author: 현대사주철학원TV
  • Views: 조회수 7,718회
  • Likes: 384987 Like
  • Date Published: 2021. 1.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RC1NxiNiSM

펌) 자미두수로 외모보는 방법,,tip

자미두수 형성부

– 정성이나 보좌성이 명궁에 있을 때 생김새가 어떠한가, 성품이나 기질은 어떠한가에 대해서 논한 부분이다.

1. 자미

– 자미는 황제로 천성적으로 후중한 얼굴을 가졌다.

– 자미의 얼굴형은 장원(長圓)하며 이마와 지각이 둥글지만 긴 형이다.

– 피부색은 자색으로 희지도 검지도 누르지도 않으며, 중간키에 허리와 등이 풍후하므로 후중(厚重)하다 한 것이다.

– 그러나 동궁하는 별에 따라 허다한 변격이 생긴다.

① 자파 : 살기를 같이 보면 주로 눈빛이 안정되지 못한다.

② 자탐 : 얼굴형이 약간 넓적하다.

③ 자살 : 얼굴형이 약간 네모진데 즉 지각이 약간 네모지다.

④ 자부 : 얼굴형이 둥글넓적하거나 자살에 비해 더 네모지다.

– 자미가 보필과 좌성을 보면 주관이 강하고 주견은 적으며 얼굴이 반드시 풍후하고 대방하며 두 눈이 자애롭고 온화하다. 그러나 만약 재야고군의 자미라면 눈빛이 고독하고 교할하며, 비록 오관이 단정할지라도 결함이 있게 된다.

– 자미가 부상조원을 얻거나 보필의 협을 얻으면 생김새가 후중하고 온량하다.

2. 천부

– 천부는 존성(尊星)으로 순화(純和)한 몸을 주관한다.

– 천부는 주로 네모지거나 장방형이거나 약간 원형을 띤 넓적하고 모난 얼굴이다.

– 몸은 대부분 비만하거나 노년에 살이 찐다.

– 녹이 없으면서 살기형모가 중중하면 주로 마른다.

– 얼굴색은 황백색이며 염정과 동궁하면 피부가 거칠고 검다.

– 오관이 단정하고 심성이 온화하며 눈빛이 단정하나 살기를 만나면 눈빛이 안정되지 못한다.

– 여명의 천부는 코가 평평한 쓸개와 같은 모양이 대부분이다.

3. 태양과 태음

– 태양이 떨어지면 위인이 원만하고, 태음이 떨어져도 사람됨이 맑고 뛰어나다.

* 금오원만(金烏圓滿) : 금오란 태양을 가리킨다.

– 태양이 좌명하고 입묘하면 둥근 얼굴이거나 얼굴형이 포만하며 낙함하면 약간 뽀족하며 긴 모습을 띤다.

– 얼굴은 홍황‧홍백 또는 자홍색을 띤다.

– 태양화기이면 주로 안질이 있게 되고 화기에 살성을 보면 두 눈이 하나는 크고 하나는 작거나 하나는 높거나 하나는 낮다.

* 옥토청기(玉兎淸奇) : 옥토란 태음을 말한다.

– 태음이 좌명하고 입묘하면 둥글고 청수하며 낙함하면 뾰쪽하거나 얇음을 띤다.

– 얼굴색이 청백하거나 약간 청황색을 띠고 함궁에 있으면서 살기를 보면 청흑색을 띤다.

– 동월이 살성과 화기를 보면 주로 낮은 들보와 같은 코를 가지고 있다.

– 기월에 살성과 화기를 보면 주로 두 눈이 고저와 대소의 차이가 있다.

– 태음이 여러 도화성을 보면 눈빛이 미혹하고 멍하다.

4. 천기

– 천기는 크지도 작지도 않은 몸을 가졌으며 마음속으로 선한 것을 좋아한다.

– 천기의 얼굴형은 길고 약간 파리하며 입묘하면 도리어 키가 크고 비만하고

– 기거가 동궁하면 주로 창백하고 눈빛이 어려있다.

– 기월은 눈빛이 영롱하며

– 기량은 눈빛이 침착하고

– 천기가 길성을 만나면 마음이 자비로우나, 흉성을 만나면 번지르르하고 마음이 교활하다.

– 얼굴은 청색이고 노년에 청황으로 변한다.

– 천기와 녹은 기이한 고예(高藝)가 있고 세밀한 기교에 능한 영리한 사람이다.

5. 무곡

– 무곡은 지극히 강하고 의지가 굳으며 지조가 있고 심성이 과결 강강하다.

– 무곡의 얼굴은 타원형이고 대부분 약간 야위었다.

– 진술궁에서는 천라지망에 들어가므로 주로 키가 마르고 크며

– 묘궁에 있으면 도리어 주로 몸집이 비만하고

– 유궁에 있으면 주로 키가 크고 몸집이 크다.

– 얼굴은 청색, 청흑으로 다 약간씩 청색의 색조를 띠고 있다.

– 성격은 과감하고 의지가 굳은 것이 이리같이 표독하게 변하거나 흘겨보고 원망하며 종신 풀리지 않는다.

– 탐랑이 무곡과 동궁하면 얼굴형은 작고 소리는 높고 성량이 크다.

6. 천동

– 천동은 비만하고 눈매가 빼어나고 깨끗하다.

– 천동은 둥글고 네모진 얼굴이거나 네모진 얼굴이다.

– 얼굴색은 황색이나 자홍색을 띤다.

– 대개 천동이 명궁에 있으면 주로 주인의 몸집이 풍만하여 미목이 청수하고 눈빛이 인자하다. 그러나 만약 화기라면 눈빛이 유약하고 다시 살성을 보면 주로 얼굴을 다친다.

– 거동이 동궁하고 화령을 보면 주로 특이한 사마귀가 있거나 반점이 있으며, 타라를 보면 주로 눈이 가늘고 심하면 애꾸가 된다.

– 여명 동월이 자궁에 있으면 눈빛이 유려하다.

– 천동에 타라‧화기가 더해지면 비만하고 눈이 멀게 된다/

7. 염정

– 염정은 미관이 넓으면 입이 크고 얼굴이 넓적하고 위인이 성격이 거칠며 성내고 다투기를 좋아한다.

– 얼굴형은 타원형에 야위고 미간이 넓고 입이 크며 관골이 높다.

– 얼굴색은 황색이나 약간 황흑색을 띤다.

– 탐랑과 동궁하면 얼굴색이 황백색이고

– 천부과 동궁하면 얼굴색과 피부색 모두 거칠고 검다.

– 대개 염정은 튀어나오는 뜻이 있어서, 예를 들어 눈이 튀어나온다든지 미골이 튀어나온다든지 관골이 튀어나온다든지 한다.

– 살기와 동궁하면 콧구멍이 튀어나온다든지 뺨의 횡골이 튀어나온다든지 한다.

8. 탐랑

– 탐랑은 선악의 별로 입묘하면 반드시 몸집이 크나, 함지에 떨어지면 완고하고 도리에 어둡다.

– 탐랑이 입묘하면 신체가 비만하고 높고 크나, 낙함하면 그 생김새가 도리어 작다.

– 얼굴색은 청백색이거나 창황색이고 얼굴형은 타원형이거나 둥글고 모났다.

– 탐랑이 낙함하면서 양타를 보고 또 화기를 보면 주로 얼굴에 흉터가 있거나 반점이나 사마귀가 있다.

– 탐랑이 천마와 동궁하면 선하면 교제를 잘하고, 악하면 말이 실답지 않게 된다.

9. 거문

– 거문은 시비의 별로 낙함하면 반드시 시끄럽게 떠든다.

– 일반적으로 몸집이 왜소하거나 키가 중간이나 사오궁에서 태양과 상회하면 비로소 비만하다.

– 얼굴색은 청황색이며 낙함하면 청흑색이고,

– 입묘한 태양과 동궁하거나 회조하면 얼굴색이 홍황색이 되며,

– 낙함한 태양과 동궁하거나 회조하면 얼굴색이 청흑색에 붉은색을 띤다.

– 만약 살기성을 만나면 삐딱한 눈으로 사람들을 보기 좋아한다.

– 거문 타라는 주로 특이한 사마귀나 반점이 있다.

– 거문이 태양과 만나면 몸에 털이 많고 길다.

10. 천상

– 천상은 눈빛에 정기가 어려있고 얼굴이나 몸체가 지중하며, 묘왕지에 있으면 돈후하고 온량하다.

– 얼굴형은 사각형이거나 혹은 약간 원형을 띠고

– 얼굴색은 청백색이거나 청백색에 황색을 띤다.

– 대개 중간키에 중년 후에 비만하기 쉽다.

– 천상은 오관이 단정함을 주하므로 얼굴이나 몸체가 돈후하다.

– 형기의 협이 될 때는 주로 자신도 모르게 얼굴을 다치며, 비록 면목이 단정하고 좋을지라도 눈빛에 결점이 있으며 언사가 과장함이 있다.

– 염정 파군과 상대할 때도 자신도 모르게 얼굴을 다친다.

11. 천량

– 천량은 온중(穩重)하며 옥과 얼음처럼 맑고 깨끗하다.

– 천량이 수명하면 주로 얼굴색이 황백색이다.

– 얼굴형은 장방형에 코가 반듯하고 이마가 높으며 대부분 신체가 약간 쪘다.

– 천량이 오궁에 있으면 더욱 키가 작달막하면서 쪘다.

– 사궁에서는 중년 후에야 비로소 살이 찌며 키가 크다.

– 눈빛이 청랑하나, 오궁에 있으면 눈빛이 엄하여 사람을 내쫒기 쉬우며,

– 함궁에 있으면서 도화성을 보면 눈빛이 요염한 빛을 뿜는다.

– 천궁과 동궁하면 응대하는 말을 잘한다.

– 녹존이 천량의 입묘함을 만나면 자기 사재를 털어 타인에게 베푼다. 여명은 음란하다.

12. 칠살

– 칠살은 공자의 제자 자로와 같은 성격으로, 무모한 행동을 잘하고, 화령은 예양이 불을 삼텨 말을 못하게 한 것과 같이 말이 서툴다.

– 폭호마하(暴虎溤河)란 눈이 크며 이리같이 눈빛이 흉함을 말한다.

– 탄탄장아(吞炭裝啞)란 어둡고 어수선하게 목소리가 가라앉아 있음을 말한다.

– 칠살이 좌명하면 논빛이 위엄이 있지 않으면 노한 듯하므로 폭호빙하라고 했다.

– 그러나 여러 도화성을 띠면 오히려 눈빛이 아양을 부리듯 한다.

– 얼굴형은 장방형이고 약간 마른 사람이 많으며, 화록을 보면 몸집이 풍성하다,

– 눈이 크며, 길성을 만나면 눈빛이 부드럽고 흉성을 만나면 눈빛이 예리하다.

– 칠살이 공망에 떨어지면 위력이 없어져 버린다.

13. 문창, 문곡

– 문창은 준아(俊雅)하고 미목이 청수하며

– 문곡은 시원시원하며 말주변이 좋다.

– 묘왕지에 있으면 특이한 반점같은 것이 있으며, 함지에 있으면 반드시 흉터가 있게 된다.

– 문창이 있으면 동궁한 정성을 준아하게 한다. 주근깨가 많고 살이 찌며, 얼굴색은 황백색이 많다.

– 문곡은 제 정성에 대한 영향은 시원시원하게 한다. 주로 사마귀가 많고 뺨에 모서리가 있으며 청황색을 주관한다.

– 창곡이 화령을 보면 주로 특이한 반점이나 사마귀가 있으며 만약 다시 낙함하면 몽고 반점이나 흉터가 있다.

– 문곡이 왕궁(旺宮-묘왕지)에 있으면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

– 문곡이 염정과 만나면(동궁하면) 탐욕스럽고 함부로 하는 관리가 된다.

14. 좌보, 우필

– 보필은 온유하고 선량하여 아담하고 단정한 높은 선비와 같은 풍모가 있으며

– 좌보의 영향은 체태를 마르고 길게 하며 얼굴색은 황백색이다.

– 우필의 영향은 체격을 중간정도 작게 하고 얼굴색은 황백에 반점이 많다.

– 기질로 말하자면, 보필이 있으면 대개 온유하고 어짊을 주로 한다는 것이다.

15. 천괴, 천월

– 괴월은 모두 지각이 네모났다. 얼굴에서 지각이 네모난 사람은 대부분 위의(威儀)가 있다.

16. 경양, 타라

– 양타는 생김새가 추하고 얼굴이 거칠며 몸집도 짐짓 꾸민다.

– 양타가 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교사(矯詐-남을 속이거나 기만함)하게 하는 것이다.

– 얼굴형은 위는 둥글고 아래는 각지며, 위는 크고 아래는 작게 한다.

– 타라는 주로 치아가 가지런하지 못하다.

– 여성의 얼굴에서, 반드시 경양을 본 후에야 비로소 눈을 끌며, 그렇지 않으면 비록 오관이 단정하더라도 이성으로부터 주의를 끌지 못한다.

17. 파군

– 파군은 불인(不仁)하고 등이 두텁고 미간은 넓으며 걷거나 앉을 때 허리가 구부러졌고 간사하며 놀래키는 짓을 좋아한다.

– 파군은 주인의 등이 두텁고 미간이 넓으며 걷고 앉을 때 허리가 삐딱하다.

– 혹 얼굴을 깨거나 혹 말을 더듬거나 낳을 때 난산했거나 조산했다.

– 그 얼굴형은 길거나 타원형이며 얼굴색은 청황이나 흑색을 띠었다.

– 입묘하면 눈빛이 명랑하고 낙함하면 눈빛이 탁하다.

– 마음속에 불 칼을 품은 것 같은 것은 진실로 파군의 위권이라 할 수 있다.

– 파군이 입묘하며 녹존을 보면 성격이 시원시원하고 곧으나, 낙함하고 녹이 없으면 성격이 강하고 남과 어울리지 못하며 요행과 모험을 좋아한다.

– 파군이 탐랑을 만나면 아주 음란하게 된다.

– 파군‧칠살에 경양은 신체를 상하게 된다.

18. 녹존

– 성격과 얼굴이 봄바람처럼 부드러운 것은 녹존의 성덕(盛德)이라고 할 수 있으며

– 녹존의 정성에 대한 영향은, 뾰족하고 모난 얼굴을 원만하게 변하도록 한다.

– 녹존은 성격을 원활하게 한다. 단 녹존이 살성을 띠면 도리어 생김새가 외롭고 고독하게 된다.

– 록마교치가 되면 이마가 각지고 포만하다.

19. 화권, 화록

– 화권과 화록은 이목구비가 기특하며, 파군은 평생에 쌓은 복을 흩어버린다.

20. 악성과 선성이 같이 있을 때

– 품성이 한결같지 않다.

21. 재가 공망에 있으면

– 사업을 할 때 지속적인 마음이 결여된다.

[자미두수] 자미두수 배우자 보는 법 (1.궁의 역할)

자미두수 배우자 보는 법

자미두수의 강점이자 특징이 12궁으로 이루어졌고 삼방사정으로 각각의 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자세하게 풀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배우자를 보는 법을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 자미두수에서 배우자는 부처궁(夫妻宮)을 본다

부처궁의 삼방사정

자미두수에서 배우자는 부처궁을 통해서 알아보게 됩니다.

夫:사내 부 / 妻:아내 처 / 宮:집 궁 / 즉 남편, 아내를 알아보는 자리. 라는 뜻입니다.

자미두수는 별의 조합을 통해서 해당 궁이 뜻하는 의미를 파악하기에 부처궁에 어떤 별이 들어있는지가 1차적인 판단요소가 되고 그 후 삼방 (명리에서 삼합을 하는 자리의 궁) 과 대충궁 (명리에서 충을 하는 자리의 궁) 에 위치한 별들로 환경적인 영향력을 함께 보게 됩니다.

부처궁에 영향을 주는 삼합궁은 복덕궁 (정신세계) 천이궁 (사회활동) 이 되기에 본인의 사고방식, 정신 안정이 당연히 부부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고 또 사회생활의 좋고 나쁨도 배우자와의 관계와 인연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대충궁을 보는데 이는 관록궁(직장, 직업환경)이 됩니다. 부처궁과 관록궁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자리에 배치가 되는데 가정이 안정이 되어야 직장에 집중할 수 있고 또 직업이 안정이 되어야 배우자와 결혼이 가능하고 좋은 배우자를 만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처궁으로는 배우자의 기질, 특징, 직업, 외모를 보게 되는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나와 배우자와의 관계를 보는 것이고 직업과 외모는 미루어 짐작을 하는 것이기에 참고를 하는 정도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2. 명궁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부처궁에 대한 부분은 어느 책을 보더라도 위에 관련된 내용들이 모두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명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아서 따로 적어봅니다.

자미두수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명궁인데 이유는 나의 기질과 특징이 비교 기준이 되고 (명궁) 각 궁과 상대성을 보아서 판단을 해야 더욱 정확한 풀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가령, 탐랑이 명궁이라면 부처궁에는 항상 천부가 있게 됩니다.

간단하게 해석을 하면 배우자궁에 천부가 있으니 포용력이 있고 가식이 없으며 주변 사람을 잘 챙기는데 생각보다 조심성이 많다. 라고 해석을 합니다.

그런데 명궁 탐랑과 같이 해석을 하면 탐랑은 본인이 호기심이 많고 도전성과 감정기복이 있기에 안정적이고 이해심이 많은 사람. 자신이 투정을 부리거나 어떤 행동을 해도 받아줄 수 있는 사람에게 끌린다. 라고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또 명궁의 별이 필요한 별이 부처궁에 있다면 결혼을 하거나 애인이 생기며 일이 잘 풀리거나 지원을 받는다는 의미도 생겨나게 됩니다.

이것은 인연법으로 궁합을 볼때도 확장 가능한 개념입니다. 단순한 이론이지만 나의 부처궁에 있는 별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사귀게 되는 경우가 의외로 많고 상대방의 부처궁에 있는 별이 나의 명궁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나의 복덕궁이나 명궁. 천이궁이 약하다면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나의 노력이나 역량이 약할 수 있기에 좀 더 안정적이고 이해심이 많은 배우자를 얻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겠고 ( 나의 취향보다 사회적 기준에 적합한 사람 ) 결혼생활에서 좀 더 이해심을 발휘하는 것도 필요하네요. 이것은 선천적인 부분에 해당이 되고 운을 보게 되면 운마다 배우자, 애인과의 관계에 변화성이 생기니 운의 부분도 참고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배우자와 애인은 결국 나의 인품과 인연으로 맺어지는 것이니 스스로가 좋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12궁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드렸는데 다음번에는 자미두수의 별들이 부처궁에 들어가며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늘 좋은하루 되시고 감사합니다. ^^

반응형

자미두수 14주성별 성격과 이상형

자미두수 14주성별 성격 및 이상형

자미두수 14주성별 성격 특징과 이상형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미두수는 중국 송나라 진희가 집필한 사람의 사주를 보는 책이자 점술입니다. 자미성과 북두칠성의 위치와 빛 등, 태어난 생년월일시를 가지고 사람의 운명을 보는 방법입니다. 사람의 운명을 보는 점에서 사주와 비슷한데요. 자미두수는 1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진 명반을 가지고 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진이 안보이는 경우 최신 브라우저를 사용해주세요

자미두수 성격 및 이상형

1. 자미두수 명반 확인 방법

명반보기

위 사이트로 이동하여 명반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시를 입력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자미두수 명반

1번 명궁에서 초록색 박스의 주성을 확인해주세요.

확인한 주성을 아래에서 찾아주세요.

2. 14주성별 이상형

칠살성

칠살성은 감정이 열정적으로 대범하며 이별과 사랑에 과감하다. 자유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사랑에 빠지는 대상은 솔직하고 강렬하며 대담하게 행동할 수 있고 씩씩한 기운이 가득한 사람일 것입니다.

파군성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변화를 좋아하는 활달하고 자유로운 파군성은 자신과 같이 활달하고 자신감 있으며 변화가 많고 심지어 엽기적인 상대에게 몹시 관심을 갖는다

함께 지내면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다

염정성

자신보다 강하고 거만한 사람과 사랑하게 빠지게될 가능성이 높으며, 상대방이 자신보다 못하다고 느끼면 바로 돌아설 것입니다.

그러나 상대가 자신보다 강하면 바로 심리적으로 저항하고 자기방어심이 강하기 때문에 사랑의 딜레마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탐랑성

다재다능하고 그럴듯하게 보이는 걸 좋아하며 유머러스하고 이성에게 인기가 많은 상대야말로 탐랑성이 한 눈에 반하기 쉬운 타입이다.

경쟁자가 많은 상대일수록 더욱 흥미를 갖는다.

자미성

매우 진실되고 진중하며 꾸준하다. 전형적인 완벽주의자인 자미성은 자기애가 강하다

자신과 비슷한 사람이 사랑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고상하고 우아하며 매너 있는 상대와 사랑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천부성

천부성은 전형적인 쾌락주의자로 품위를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자신과 함께 즐기고 놀 수 있는 대상을 좋아하게 된다

무곡성

무곡성은 자신의 성격처럼 진지하고 책임감 있어 보이고 꼼꼼해 보이는 유형을 좋아한다

천상성

상냥하고 정중하며 예의바른 천상성은 군자, 숙녀형의 이성에게 애정이 생긴다

상대방은 신중하고 성실하며 사려가 깊고 주도면밀하고 점잖으며 예절이 바르기 때문에 밖에 나가기만 하면 체면이 선다

태양성

태양성은 많든 적든 영웅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숭배가 사랑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사회적 지위가 있고 설득력이 좋으며 열정적이고 활동적인 발광체를 가진 이성을 좋아하기 쉽다

거문성

솔직하고 쾌활하며 언변이 좋은 거문성은 약간의 자기애가 있는 편이다.

좋아하는 상대는 직설적이고 순진하며 재능이 있고 노골적인 친구 유형을 좋아한다.

친구형으로 말다툼을 할 수록 더욱 사랑한다.

천기성

친절하게 사람을 대하고 부드러운 천기성은 전략을 세우고 선견지명하며 신뢰할 수 있는 상대를 좋아한다

태음성

꿈속에서 태어난 태음성은 강렬한 이상주의자 스타일 또는 속세의 때가 묻지 않은 성에게 애정을 느낀다

천량성

정직하고 진중한 천량성은 사랑에 대해 매우 진실하다/

성숙하고 안정적이고 믿음직한 상대를 좋아하고 바람둥이가 아닌 사람이 천량성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천동성

느긋하고 점잖으며 부드러운 상대는 천동성이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다.

천동성은 정신적 의사소통의 적합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상대방에게 사랑받는 기분을 좋아하여 인간 세상에 온 신선같은 사람만큼 천동성을 감동시키는 사람은 없다.

3. 14주성별 성격 특징

주성(主星)

1. 자미 : 황제의 기품 – 제왕성(帝王星)

말로 표현하기 힘든 위엄이 있다.

조직을 이끄는 권세가 있다.

호령하고 지시하는 것을 좋아한다.

사람을 통솔하는 능력이 있다.

권력을 장악하길 좋아하고 일처리를 감정적으로 하기 쉽다.

핵심적인 존재로 오행을 장악하고 만물을 양육한다.

2. 천기 : 총명하고 다재다능 – 지혜성(智慧星)

총명하고 재주가 많으며 쉬지않고 움직인다.

개성은 비록 성급한데, 말로 표현하는 것은 우아하고 고상하다.

마음이 자애롭고 착하다.

일처리가 조리있고 박력있다.

교섭, 연락, 기획, 분석을 잘한다.

부처궁 천기- 천량이 동궁하면 나이많은 배우자가 좋다. 연인사이에서 사랑보다 사수자리처럼 변함없는 우정이란 감정

3. 태양 : 자애롭고 호탕 – 박애성(博愛星)

성격이 매우 자애롭다.

호탕하고 시원스럽다.

외교적인 업무를 잘한다.

남에게 베풀길 좋아하며, 남과 사소한 걸로 따지질 않는다.

마음이 곧고 말하는 것이 솔직하여,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표현한다.

남과 논쟁하길 좋아하고 쉽게 화를 낸다.

사람됨이 충성스럽고 정직하며 공평하고 적극적이며 부지런하다.

친구들과 의리를 중시한다.

남자부처궁이 태양이면 세련미있고 명랑. 보이쉬한 여성에게 호감. 결혼후 아내에게 정신적으로 의지하려는 심리를 가진다. 상대에게 베푸는 마음

4. 무곡 : 강직하고 결단력 – 고독성( 孤獨星)

성격이 강직하나 마음은 선량하다.

일에 대해서는 결단력이 있다.

성실하고 신용이 있다.

마음이 곧고 성격이 직선적이다.

반응이 직접적이고 실행력이 있다.

상징하는 것은 과부 홀애비. 용맹함. 금융계통이다.

5. 천동 : 쾌락적이고 타고난 복 – 온량성(溫良星)

성격이 나태하고 산만하다.

상냥하여 무엇이든 거절하지 못한다.

일처리가 적극적이지 않고, 세심하게 따지지 않는다.

낙관적이고, 스스로 만족한다.

먹을 복이 많고, 사람과의 인연이 좋다.

지식인이나 인텔리로 정신적인 일에 정통하다.

계획이 너무 원대하여 한계가 분명하지 않다.

천동은 살성을 어느정도 보아야 발전하며 봉흉화길의 별. 살성을 감당할수있다. 여성의 명궁에 천동이 있는것이 괜찮고 주로 복덕궁에 있는 것이 제일 좋음. 천동이 부처궁이면 늦게 결혼해야 좋다. 소박함. 제일 착한 별

6. 염정 : 시비가 분명 – 사악성(邪惡星)

도화성으로 바람기가 있다.

업무적인 성질이 이성과의 접촉이 많다.

성격이 남의 속박을 받지 않으며 생각이 교만하고 오만하다.

어떤 상황에 직접 부닥치는 것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상징하는 것은 도박 모험 아첨 시비를 거는 것이다.

염정은 가둘 수囚의 별로 자기와 타인을 가두는 성향으로 드러난다.

자신에게는 자존심,집념,집중, 고정관념, 편견, 혈육에 대한 집착, 정서적 불안정, 압박감으로 나타난다.

울타리를 치고 사람을 넣었으니 혈육에 대한 집착을 보이고 사회적으로는 끼리끼리 동지의식이 있다.

염정은 행정처리 능력이 뛰어나고 정치나 공직에 적합.

감정이 풍부하고 강하여 탐랑과 더불어 차도화(次도화)로 교제를 잘하고 수단이 좋다.

보수적이며 공주병과 같은 이기적인 성향이 있다.

심리적으로 복잡하여 14별 중에서 성격을 파악하기 가장 어렵다.

타인을 강제하고 억압하여 상사로 모실경우 피곤하다.

7.천부 : 웃는 얼굴이 재복 상승 – 재예성(才藝星)

자비심이 있고 남을 잘 동정한다.

의식衣食의 관리를 잘하며, 자질구레한 일도 잘 보살핀다.

학습에 천재이고 기획과 조직, 재무문제 처리를 잘한다.

권력을 놓고 경쟁한다.

패배를 인정하거나 항복하지 않다.

현숙하고 재주가 있다.

8. 태음: 낭만적인 감정이 풍부 – 청결성(淸潔星)

성격이 온화하고 침착하며 정직하고 총명하나, 제멋대로 생각을 한다.

우아하고 참을성이 있다.

애정문제나 겉모습 성실을 중시한다.

낭만적인 것을 좋아하며 소심하며, 역마성이 있고 은밀하다.

약간 신경질적이다.

태음은 여성의 별, 여성육친을 상징. 섬세함. 예술적.아름다움. 태양과 짝성인 달에 해당하는 별이다.

남명에 태음이 있으면 여자마음을 잘안다. 남명 부처궁에 태음이면 자신엄마와같은 여자를 선호

9. 탐랑 : 팔방미인 다재다능 – 욕망성(慾望星)

욕망이 아주 강하다.

생활이 다채롭다.

처세에 뛰어나 교제하고 접대를 잘한다.

한밤중에 생활하는 것을 좋아한다.

말주변이 뛰어나다.

노래와 춤. 신선술(神仙術:기공.철학.역학). 박애(博愛)를 좋아한다.

이상주의자이고 완벽주의자이다.

부처궁 탐랑은 도화성이기 때문에 잘살펴보아야할듯하다.

10. 거문 : 말주변이 좋고 상상력이 풍부 – 시비성(是非星)

성격이 의심 많고, 추리와 분석 조직(組織)과 기획을 잘한다.

말주변이 뛰어나고 상대의 의중을 잘 헤아린다.

임기응변이 뛰어나다.

의심이 많고 공부를 많이 한다.

도둑이나 절도의 성이다.

구설. 시비. 말주변. 먹을 복을 상징한다.

거문은 외국과 인연도 있다. 거문, 천량이 삼방사정에서 태양을 볼시 태양이 왕한게 좋다.

태양 거문은 경쟁, 외국, 전파의 의미. 외국계 회사, 외국과 관련된 업무 또는 영의 세계 성직자 종교인, 무속인..

11. 천상 : 기획력이 풍부 강한 서비스 정신 – 복무성(服務星)

개성이 상냥하며 기개가 있고 소탈하다.

마음이 선량하다.

알량거리거나 알량거림을 받는 것을 좋아한다.

의식衣食을 중시하며, 말할 때 상황을 중시하며,논리정연하다.

일처리하는데 있어 남의 뒤치다꺼리를 하며, 자유를 좋아하며 권력과 결탁하기를 좋아한다.

천상이 부처궁이면 가까운 사람과 결혼한다(동창, 동료, 사내커플)

12. 천량 : 흉액을 좋게 바꿈 – 복수성(福壽星)

모습이 후중하고 청수하며 성숙하여 노숙한 분위기가 있다.

허풍떨기를 좋아한다.

주제넘게 나서길 좋아한다.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이다.

봉흉화길의 별, 감독관같은 배우자

13. 칠살 : 용감하고 적극적 – 전투성(戰鬪星)

살기(殺氣)가 있어 기운이 스산한 것을 상징한다.

성격이 거칠고 급하며 속박을 싫어한다.

용감하게 전진하고 과감하게 모험한다.

곤란한 일을 당하면, 하나 하나 극복하여 나간다.

희노애락의 감정이 얼굴에 드러난다.

성질이나 화를 내도 곧바로 3분안에 가라 앉는다.

부처궁 칠살은 편관같은 배우자, 남명 부처궁이 칠살이면 아내 기가 쎄다.

14. 파군 : 창의적이고 모험적 – 파모성(破耗星)

성격이 제멋대로며 오만하며 강하여, 화합하기 힘들다.

말에 하는데 이것 저것 구속받지않고 직선적으로 표현한다.

투기 모험을 좋아한다. 겉모습을 중시하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바꾸고 변화하려 한다.

결혼하고 싶은 이상형에 대해서… (2)

두수 명반에서 부처궁은 여러 가지를 담당하는 궁이지만(모든 궁이 그러하다. 하나의 궁이 한 가지만 담당하는 궁은 하나도 없다), 여기서는 결혼하고 싶은 사람의 이상형은 부처궁에 대략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부분에 관해서만 다룰 예정이다.

[부처궁에 좌한 십사정성에 따른 이상형 및 연애심리]

자미

** 여자의 경우 :

1) 남편을 선택하는 기준이 다소 까다로운 축에 속한다.

2) 평범한 회사원이나 자영업자보다는 의사, 약사, 법조인, 사업가, 재산가 등 부(富)나 귀(貴)를 지닌 남자와 결혼하여 남들에게 남편 잘 만났다는 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심리가 다분하다.

** 남자의 경우 :

1) 아내를 선택하는 기준이 여자의 경우에 비해 까다롭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아무런 기준이 없는 것도 아니다.

2) 미모와 의젓함을 지닌 여자와 결혼하고 싶은 심리가 저변에 깔려 있으며, 연애시에는 대체적으로 여자에게 잘 맞춰 주는 스타일이고, 결혼 후 가정사(家庭事)를 결정할 때 아내의 입김이 더욱 강해지는 현상이 있다.

** 참고사항 :

1) 자미는 두수의 주성(主星)이자 두령(頭領)의 별이므로 연애할 때 상대의 취미나 성정이 고상한 편에 속하여 결혼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2) 부처궁에 자미천부가 동궁하는 경우에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 매우 까다로워지게 되는 현상이 있고 이로 인해 혼기(婚期)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천기

** 여자의 경우:

1) 천기는 형제궁을 주관하는 별이기 때문에 명궁이나 부처궁에 천기가 좌하면 연애시 ‘연인 사이의 사랑’이라는 감정보다는 ‘변함없는 우정’의 감정을 중시하는 편이다. 만일 서양점성술에 있어서 태어난 날이 사수좌에 속한다면 더욱 그런 성향이 짙다.

2) 상대(남자)가 형제같이 편안한 느낌을 주면 그 남자와 연애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 남자의 경우 :

1) 남자 역시도 부처궁에 천기가 좌하면 ‘사랑의 정도’보다도 다만 ‘친근함의 정도’에 따라 연애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부처궁을 중심으로 도화성계가 삼방대궁에 많이 보일수록 ‘미모’의 기준이 더해진다.

** 참고사항 :

1) 천기는 역마(驛馬)의 성질을 지닌 별이기 때문에 연애시에 여행 또는 드라이브를 하는 것을 맛집 찾아가기보다 더욱 즐거워한다.

2) 부처궁에 천기가 좌한다면 남편 또는 아내가 결혼 전에 많은 사람과 교류를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만일 그렇다고 해도 그것을 문제 삼는 것은 삼가야 한다. 본래 천기는 분치성(奔馳星)이기도 하거니와 ‘시절에 따른 인연’의 뜻이 있어서 천기가 만나는 인연은 자연히 많게 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뿐이기 때문이다. 만일 남편 또는 아내가 본인과 결혼하기 전에 이성(異星)과 많은 교류를 했다고는 하더라도 ‘짙은 사랑의 감정’을 가지고 교류했을 가능성은 매우 적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안심을 해도 된다.

태양

** 여자의 경우 :

1) 대부분 명랑하고 의욕적인 남자를 원한다.

2) 부(富=재물)보다는 귀(貴=명예)를 추구하는 남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업가를 만날 가능성은 적다(그렇다고 해서 모든 사업가가 돈밖에 모른다는 의미는 아니다).

3) 태양의 빛이 밝은 경우에는 기대치에 비해 능력이 제법 있는 남자와 만날 가능성이 높고, 태양의 빛이 어두운 경우에는 기대치에 못미치는 남자와 만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태양이 밝든 어둡든 삼방대궁의 보좌살성에 따라 변수가 발생한다.

** 남자의 경우 :

1) 세련미가 있고 명랑한 성격의 여자를 원한다.

2) 다소 보이시(boyish)한 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3) 결혼 후에는 다소 아내에게 정신적으로 의지하려는 심리가 깃들 가능성이 높다.

4) 태양의 빛이 밝지 못한 경우에는 결혼 후에 적막감을 느끼기 쉽다. 이것은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 참고사항 :

1) 태양은 광명(光明)을 상징하므로, 태양이 부처궁에 들면 본인이 상대에게 베풀고 싶어하는 마음이 많으며, 또한 상대가 본인에게 베풀려고 하는 마음이 많다. 단, 기분이 좋을 때는 더욱 그러하지만 기분이 저조하거나 좋지 않을 때에는 베풀지 않을 수 있다. 이렇듯 태양은 기분에 좌우되는 현상이 있다.

2) 부처궁에 태양이 좌하면 상대의 의견을 최우선으로 존중해 주어야 결혼생활에 활력이 넘쳐나게 된다.

무곡

** 여자의 경우 :

1) 귀(貴=명예)보다는 부(富=재물)의 가치를 중시하는 남자를 선호한다.

2) 대체적으로 고집은 있어도 믿음직스런 남자가 이상형에 속한다.

3) 외모나 학식보다는 의리를 지킬 줄 아는 남자를 갈망한다.

** 남자의 경우 :

1) 여성미가 넘치는 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 자신의 일에 프로정신이 투철한 여자가 이상형인 경우가 많다.

3) 장남인 경우 복덕궁에 자미가 좌하기 때문에 정통을 중시하는 성향이 있어서 연애할 때부터 부모님(아내 입장에서는 시부모님)을 모셔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상대(여자)에게 내비추기도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그런 여자를 만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므로 실망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 참고사항 :

1) 무곡은 과숙(寡宿)을 대표하는 별이므로 조혼(早婚)보다는 만혼(晩婚)이 적합하다.

2) 남자의 부처궁에 무곡이 좌하면 아내가 바깥에서 본인이 하고 싶은 일(직장, 직업)을 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부부생활을 더욱 윤택하게 가꾸어 나가는 비결이 될 수 있다.

3) 부처궁이 아닌 ‘명궁’에 무곡성이 좌한 남자(=무곡성 남자)의 경우는 연애시에 돈을 제일 쓰지 않는다. 따라서 무곡성 남자를 만나 연애하는 여자는 더치 페이를 늘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천동

** 여자의 경우 :

1) 연하의 남자를 선호하거나 남편이 될 사람이 때묻지 않은 순수한 영혼을 지녔기를 바라는 성향이 있다.

2) 무엇보다도 상대(남자)로부터 동질감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호감의 정도가 결정된다.

** 남자의 경우 :

1) 귀엽고 아담한 스타일의 여자를 선호한다.

2) 자신의 말에 잘 따라주고 약간 백치미가 있는 여성을 좋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연상의 여자를 아내로 맞이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 참고사항 :

1) 천동은 융화(融和)의 성질을 대표하므로 서로 간의 동질감의 정도에 따라 연애의 깊이가 결정된다.

2) 여자의 경우 부처궁에 천동이 좌하면 명궁에는 태양이 좌하는데, 만일 태양이 낙함하고 다시 살성의 간섭이 심하다면 비록 부처궁이 길한 형태를 띠고 있어도 결혼생활에 지장이 많을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만 한다. 태양은 남자육친을 대표하기 때문이다.

염정

** 여자의 경우 :

1) 연애에 있어서 상대(남자)가 본인을 구속하는 정도에 따라 ‘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즉 상대가 본인에게 집중(집착)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사랑이 아니라고 느끼게 되며 또한, 곧잘 질투를 부리는 경향이 있다.

2) 처음에는 의심을 하다가도 한번 넘어가면 쉽게 빠져나오기 힘들게 된다.

3) 염정이 부처궁에 좌하여 보좌살성 뿐만 아니라 살성의 간섭이 심하지 않아서 길격을 갖추게 되면 대체로 정신력이 강한 남자가 이상형이 된다.

4) 염정이 부처궁에 좌하여 길격이 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상형이 뚜렷하다기보다는 위에서 말한 1)항과 2)항이 주(主)가 된다.

** 남자의 경우 :

1) 미적(美的)인 감각이 뛰어난 여자를 선호한다.

2) 대체적으로 남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여자의 경우와 비슷하다.

** 참고사항 :

1) 염정은 특히 명궁, 부처궁에 좌하는 경우 길성과 살성 모두 염정의 성질에 좋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염정이 명궁, 부처궁에 좌하는 경우에는 판단의 섬세함이 요구된다.

2) 염정이 부처궁에서 매우 좋지 않은 구조를 띠고 있다면, 상대가 스토커(stalker)기질이 다분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염정은 감정(感情)을 대표하고 또한 수(囚=가둘 수)로 화(化)하는 정성(正星)이기 때문이다. 또는 스스로 어떤 감정 안에 자신을 가두어 버리게 되는 수도 있으니 이러한 점을 유념하여야 한다.

3) 상대가 바람을 피웠을 때 가장 용서가 되지 않는 유형이 바로 부처궁에 염정이 좌하였을 경우이며, 그다음으로는 무곡, 천부, 탐랑 등의 순이다.

천부

** 여자의 경우 :

1) 젊어서 꽤 많은 남자와 교제하게 되지만, 그렇든 그렇지 않든 세월이 지날수록 점차 진솔한 성격을 지닌 남자가 진국이라는 사실을 깨달아 간다.

2) 가정적이면서 부(富=재물)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남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3) 학식을 어느 정도는 갖추고 있으며 또한 이목구비가 뚜렷한 남자를 선호한다.

4) 본인에게 이유 없이(또는 대책 없이) 잘해주려는 남자를 꺼린다.

5) 명궁의 탐랑이 파격(破格)이면 본인에게 잘 대해주는 남자에게는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밀당의 고수 내지는 본인의 애간장을 녹이게 하는 남자에게는 더욱 매력을 느낀다. 일명 ‘나쁜 남자’ 유형에 속하는 남자에게 매력을 느낀다.

** 남자의 경우 :

1) 자상하고 현숙한 여자가 제1의 이상형에 속한다.

2) 부처궁에 천부가 좌하여 길격을 갖춘다면 귀부인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

** 참고사항 :

1) 천부는 전택(田宅)을 주관하고 권령(權領)을 상징하는 주성(主星)이므로 천부가 부처궁에 좌하여 길격을 갖춘 경우에는 여자는 귀공자 스타일의 남자와, 남자는 귀부인 스타일의 여자와 인연이 맺어질 가능성이 높다.

2) 천부가 부처궁에 좌하여 흉격에 가까울수록 배우자가 재물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태음

** 여자의 경우 :

1) 여자의 마음을 잘 헤아려 주며 가정적인 남자를 선호한다.

2) 실제로 여자의 마음을 잘 헤어려주는 자상한 남자를 만났을 때, 이 남자가 다른 여자에게도 자상하게 대해주는 것은 아닐까 하고 걱정이 앞서기도 한다.

** 남자의 경우 :

1) 본인의 어머니와 가장 닮은 여자를 선호한다.

2) 본인의 어머니와 정(情)이 없다면, 본인의 어머니와 정반대의 유형의 여자가 이상형이 된다.

3) 본인은 부드러운 심성을 지닌 여자를 원하지만, 다소 예민하고 냉정한 여자와 인연이 맺어질 가능성이 높다. 태음은 달이며, 달은 바라볼 때는 고향을 생각나게 한다거나 포근함을 느끼게 해줄 수는 있지만, 달은 단지 태양의 빛을 반사시킬 뿐 달 자체가 빛과 열을 지니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두수에서 태음(달)을 음(陰)의 정(精)이라 논하는데, 음(陰)은 냉(冷)의 속성을 그 속에 내포하고 있다. 육친궁에서는 그 냉(冷)의 속성이 더욱 잘 드러난다. 즉 해당육친의 성격이 냉정한 일면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부처궁 뿐만 아니라 어느 궁에서든 태음이 좌한 궁은 음(陰)의 성질을 지니게 된다.

** 참고사항 :

1) 태음은 여자육친을 대표하므로 여자의 부처궁에 태음이 좌한다면 결혼생활이 적막한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단, 태음의 밝음과 어두움, 그리고 살성의 간섭 정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2) 남녀를 막론하고 태음이 부처궁에 좌하는 경우 태음의 빛이 밝고 살성의 간섭이 없거나 미미한 정도라면 배우자가 부(富)를 축적하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매우 많다.

탐랑

** 여자의 경우 :

1) 다정다감하고 목적의식이 강한 남자가 이상형에 속한다.

2) 학식보다는 능력을 중시하는 남자를 선호한다.

3) 재치와 유머감각이 부족한 남자는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 남자의 경우 :

1) 활달하고 명랑한 성격의 여자를 선호한다.

2) 본인의 까다로운 입맛을 잘 맞춰주는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어하는 성향이 있다.

3) 도화성이 많이 비추는 경우에는 화류계(술집, 다방, 나이트클럽 등)에 종사하는 여자와 만남을 갖게 되는 경우, 그 이후로 점점 화류계 여성에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 참고사항 :

1) 탐랑은 도화(桃花)를 대표하는 별이므로, 남녀를 막론하고 부처궁에 탐랑이 좌하여 도화의 성질이 더해지는 형국(탐랑의 도화성질을 부추기는 별은 擎羊,陀羅, 天姚, 咸池, 紅鸞, 文曲, 文昌, 大耗 등이다)이라면 이성(異性)으로 인한 화(禍)를 면하기 어렵다. 전택궁, 자녀궁, 명궁, 질액궁 역시도 탐랑이 좌하여 이와 같이 도화의 성질이 중중해지는 형국이라면 이성으로 인한 화를 면하기 어려운 점은 매한가지다. 또한 운에서도 마찬가지다.

2) 부처궁의 탐랑이 건전(建全)하다면, 배우자복이 두터운 축에 속한다. 탐랑은 화복(禍福)을 다스리는 별이기 때문이다.

거문

** 여자의 경우 :

1) 학자 같은 스타일의 남자를 선호한다.

2) 외모와 능력도 중시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외로울 때 늘 옆에 있어줄 수 있는 남자를 좋아한다. 거문은 격각(隔角)의 성질을 대표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함께 있지 못하고 떨어져 지내는 것을 꺼리게 되는 이치이다.

** 남자의 경우 :

1) 학식이 있는 여자는 좋아하나 너무 똑똑하여 이것저것 따지고 간섭하는 여자는 질색한다.

2) 여자와는 반대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자유로움을 누릴 수 있게 배려해 주는 여자를 선호한다.

** 참고사항 :

1) 거문은 격각(隔角)의 기운이 있으므로 거문이 부처궁에 좌하면 연애시(부부생활에 있어서도) 서로 간 의견 대립으로 인해 다툼이 잦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처궁에 거문이 좌하는 경우에는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을 세 번 이상 해보는 습관이 매우 필요하다.

2) 거문이 부처궁이나 자녀궁에 좌한 경우에는 상사병에 걸리기 쉬운 면이 있다.

천상

** 여자의 경우 :

1) 본인의 이상형이 별도로 있으되 중매결혼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2) 사실상 본인의 이상형이 뚜렷하지는 않다.

3) 다만 신뢰할 수 있고 온화한 남자를 선호한다.

4) 부처궁의 천상이 형기협인(刑忌夾印)의 흉격(凶格)이라면 남편복이 부실해질 위험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연애시에 내남자를 다른 여자에게 빼앗길까 노심초사하는 경향이 있다. 좌보우필 중에 하나만 동궁하는 경우에는 삼각관계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 형기협인에 대해서는 참고사항에서 설명한다.

5) 부처궁의 천상이 재음협인(財蔭夾印)의 길격(吉格)이라면 남편이 제 구실을 한다. – 재음현인에 대해서는 참고사항에서 설명한다.

** 남자의 경우 :

1) 상기한 여자의 경우와 비슷하다.

2) 다만 여자(혹은 아내)로 인해서 한 차례 이상 격변(激變)을 겪게 될 가능성이 있다.

** 참고사항 :

1) 천상은 인성(印星)으로서 본연의 개성이 없어서 좌우협궁의 환경에 따라 길흉이 정해지는 별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부처궁에 천상이 좌하면 부처궁의 좌우협궁인 자녀궁과 형제궁을 유심히 보아야 하는데, 만일 자녀궁의 거문이 생년기성(生年忌星)으로 화(化)하였다면 형기협인(刑忌夾印)이 된 것이므로(형제궁의 천량이 거문화기로 인하여 刑으로 化하였기 때문에 刑忌夾印이라 칭한다) 부처궁이 불안정한 상황이 된 것이다. 형기협인은 간단히 말하자면 형살(刑殺)과 화기성(化忌星)이 좌측과 우측에서 협제(夾制)하는 모습이다. 거문화기 뿐만 아니라 천상 좌우협궁에 화기성이 좌하게 되면 형기협인이 된 것처럼 흉해지는 현상이 있다. 이는 원국에서뿐만 아니라 대한 및 유년에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2) 이와는 반대로 자녀궁의 거문이 생년록성(生年祿星)으로 화(化)하였다면 재음협인(財蔭夾印)이 된 것이므로 부처궁이 길한 상황이 된 것이다. 재음현인은 간단히 말하자면 재성(財星)과 음성(蔭星)이 좌측과 우측에서 보필하는 모습이다. 재음협인은 거문이 화록이 되는 경우에만 인정한다. 이는 원국에서뿐만 아니라 대한 및 유년에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3) 지금은 천상이 부처궁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형기협인과 재음협인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천상이 십이사항궁 중 어느 궁위에 있든 이와 같이 판단하며 그 길흉의 상황은 궁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가령 재백궁이라면 금전상의 사기를 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천량

** 여자의 경우 :

1) 여자의 경우 상대(남자)가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가장 싫어하며, 그렇지 않은 남자를 선호한다. 천량이 본래 마음대로 활개치는 성향이 강한데, 부처궁에 천량이 좌하여 운명적으로 연애시에 자기 마음대로 활개치는 즉,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남자들을 만나왔기 때문에 자연 그런 유형의 남자를 싫어하게 되는 것이다.

2) 학식이나 출신보다는 (무엇보다도) 본인의 마음을 잘 헤아려 주고 배려심이 있으며, 도덕적(道德的)인 남자를 선호한다.

** 남자의 경우 :

1) 모성애가 강한 여자를 선호한다.

2) 내숭을 잘 떠는 여자보다는 넉살이 좋은 여자를 좋아한다.

3) 정치·문화·시사 등의 문제나 철학적인 문제에 대해 기꺼이 함께 생각하고 토론할 줄 아는 여자와 연애하기를 또는 부부로서 같이 살기를 갈망하기도 한다.

** 참고사항 :

1) 천량은 천상 편에서 언급했듯이 음(蔭)으로 화(化)할 수도 있으며, 형(刑)으로도 화(化)할 수 있으니, 협궁의 거문이 화기(化忌)가 되는지 화록(化祿)이 되는지가 관건이다.

2) 천량은 ‘고생’의 아이콘이다. 따라서 부처궁에 천량이 좌한다면 그 상대는 고생을 피하기는 어려우나 고생을 겪고 나면 이후에 점차 발전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3) 천량은 봉흉화길(逢凶化吉)의 성질이 있어서 천량이 어느 궁에 좌하든 간에 어떤 식으로든 봉흉화길의 현상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부처궁에 천량이 좌하면 한 차례 연애 좌절이 있은 후에 그 좌절감을 딛고 – 좌절을 통해 배운 점을 통해 – 새로이 좋은 사람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 부처궁의 천량이 형(刑)으로 화(化)하였다면 연애 좌절이 더욱 심할 수 있다.

칠살

** 여자의 경우 :

1) 강인한 정신력을 지닌 남자를 선호한다.

2) 외모보다는 능력을 중시한다.

3) 외국인 남자를 만날 가능성도 많다.

** 남자의 경우 :

1) 자기 주장이 강하지 않은 여자를 만나야 비로소 서로 화합할 가능성이 열린다. 칠살이 부처궁에 좌하는 것은 남자의 경우에는 더욱 좋지 않기 때문에 한 여자와 최소 3년 동안은 연애기간을 거친 후 결혼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참고사항 :

1) 칠살은 사망성(死亡星)이기 때문에 배우자의 신변에 위험이 닥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상대의 부처궁에 칠살이 좌하는 경우에는 본인 스스로가 건강에 유의하고 신변에 위험한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념하여야 한다. 가령 사고 위험이 있거나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는 곳은 가급적이면 가지 않는 등의 노력을 하여야 한다.

2) 칠살은 변방을 지키는 장성(將星)의 성질을 지닌 별이기 때문에, 남녀 공히 고향을 떠나야만 비로소 인연을 만날 기회가 생긴다. 또는 종종 외국인과 인연이 맺어지기도 한다. 외국인과 인연이 맺어질 확률이 높은 경우는 칠살이 부처궁에 좌하는 경우 외에도 부처궁에 파군이 좌하거나, 태양거문(巨日) 쌍성이 좌하는 경우, 또는 부처궁이 寅申巳亥의 역마궁(驛馬宮)에 해당하면서 삼태(三台)·팔좌(八座)와 동궁하는 경우도 역시 그러하다. 삼태·팔좌가 출국(出國)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파군

** 여자의 경우 :

1) 파군이 부처궁이면 명궁의 정성은 천부이다. 파군은 파격(破格)을 상징한다. 따라서 파격세일이나 파격적인 무대, 파격적인 인사 채용 등의 파격적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부처궁에 파군이 있는 경우는 파격적인 결혼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남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2) 대체로 자기 신념이 뚜렷한 남자를 좋아한다. 상대(남자)가 신념이 강한 모습에 매료되는 경우가 많다.

** 남자의 경우 :

1) 상대(여자)가 마음에 들면 모든 것을 쏟는다. 목숨까지도 건다.

2) 목숨까지도 걸 수 있는 이상형에 대해서는 예측하기 힘들다. 파군은 본래 예측불가의 성요이기 때문일 것이다.

** 참고사항 :

1) 파군은 부처궁에 있을 때 가장 좋지 않아서 이혼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파군은 쌍(雙)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재혼(再婚)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만일 계년생(癸年生)으로서 부처궁에 좌한 파군에 생년화록(生年化祿)이 붙어 파군화록(破軍化祿)이 되었다면 파군의 쌍(雙)의 성질이 더욱 증대된다. 왜냐하면 화록성(化祿星)에는 ‘많음(多)’의 뜻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2) 파군이 부처궁에 좌하면 명궁에는 필시 천부가 좌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처궁에 파군이 좌하면 이혼율이 높은 이유로 옛사람들은 천부성을 명궁에 둔 여명(女命)에 대해 반과부명(半寡婦命)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미 반쯤은 과부가 될 팔자를 지니고 태어났다는 뜻이다.

3) 파군이 부처궁에 좌한다면 결혼을 감정(일시적인 감정)에 따라 하면 후회를 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참고]

* 부처궁의 정성(正星)이 둘인 경우에는 두 가지 성향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가 많다.

* 처음에는 부처궁의 보좌살성에 따른 이상형까지도 다뤄볼 생각이었으나, 보좌살성 등은 십사정성(十四正星)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지므로, 별도로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어 생략하였다. 잡성 또한 이상형을 크게 좌우하지는 않기 때문에 역시 생략하였다.

* 태양(太陽)과 태음(太陰)은 빛의 밝기에 영향을 받는다.

* 부처궁에 좌한 정성(正星)의 묘왕리함(廟旺利陷)은 배우자의 이상형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즉 변수(變數)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부처궁의 정성이 묘왕하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욱 잘난 사람이 그 또는 그녀의 이상형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부처궁의 주성이 낙함하였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욱 못난 사람이 그 또는 그녀의 이상형에 속하는 것도 아니다. 부처궁에 좌한 정성은 단지 본인의 이상형의 ‘유형’을 대표할 뿐이며, 부처궁 정성의 묘왕리함에 따라 본인의 이상형에 있어서 ‘선악(善惡). 미추(美醜), 장단(長短), 고저(高低) 등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 부처궁이 공궁(空宮)이라면 30대 전후(늦게는 40대 전후)까지는 특별히 이상형에 대해 생각해 본 일이 없다거나 본인 나름대로의 이상형이 있다고 해도 뚜렷하지 않다가 30대 전후에 부처궁의 대궁인 관록궁의 정성에 따라 호감을 느끼는 유형과 그렇지 못한 유형이 나뉘게 된다.

* 부처궁에 좌한 정성에 따라 배우자의 이상형이 각 개인마다 달라지기도 하고, 또한 부처궁이 주관하는 바에 따라 갖가지 현상(길흉 포함)과 변화 등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부부 인연의 행불행이 부처궁의 복덕궁인 명궁 및 가정생활을 주관하는 전택궁의 길흉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부분이 부처궁 자체의 길흉보다도 더욱 크다는 것이다. 즉, 결혼생활의 행불행에 있어서는 명궁과 전택궁이 차지하는 비중이 부처궁이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는 것이다.

* 십이사항궁의 어느 궁을 판단하더라도 명궁과의 연계 하에 판단하여야 하니, 부처궁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명궁과의 연계를 잊어서는 안 된다. 가령 부처궁에 자미가 좌하더라도 명궁의 주성은 칠살일 수도 있고 파군일 수도 있고 천부일 수도 있는 것이다. 부처궁에 자미가 좌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더라도 명궁의 정성이 칠살이냐 파군이냐 천부냐 혹은 탐랑이냐에 따라서 부처궁에 동궁하는 정성도 달라지게 되므로 명궁의 상황에 따라 부처궁으로부터 발생하는 현상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 부처궁이 흉격(凶格)이나 파격(破格)에 가까울수록 만혼(晩婚)을 해야만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흉을 다소나마 줄일 수 있게 된다. 궁합이 잘 맞는 상대를 만났다 하더라도 최소 30세는 넘겨서 결혼해야 흉을 줄일 수 있다.

* 성적(性的)인 것과 관련된 취향, 성향 등은 남자는 자녀궁이 주(主)가 되며, 여자는 전택궁이 주(主)가 된다.

자미두수에 관한 모든 것

자미두수 운명학

명리학을 충분히 공부하신 분이 아니면 다음의 내용을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히려 혼돈만 생길 것입니다.

그러나 고급공부를 하신 분들을 위하여 소개해 드립니다.

紫微斗數자미두수

자미두수란 기본적으로 東洋 推命學추명학(명리,기문.육임.구성.하락이수등) 가운데 한 종류이다.

다른 術學술학과 마찬가지로 타고난 생년월일시를 기본 자료로 명운을 예측한다.

즉 생년월일시를 두수에서 사용하는 星성으로 변환하여 십이궁에 분포하여

각 宮궁들과 별들사이의 조합과 관계를 해석하여 미래사를 추론하는 학문이다.

역사는 중국 宋代에 진희이라는 도사가 창안했다고 하니 지금으로 부터는 천 년이

넘게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으나, 사실 다른 추명학 특히 자평명리(四柱八字)에

비해서는 거의 아는 사람이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非人不傳비인부전 이라는 자미두의 학풍에 첫째 원인이 있겠고 나아가서는 배워서 추명을 하고 미래사를 추론하는 과정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쉽게 생각하면 인생 십이사항궁에 각 별들이 배치되어 있으니 그 궁의 성격에 따라

별들의 속성만 읽어내면 쉽게 풀이하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추론과정은

그렇지만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여러 문파(북파, 남파, 중주파, 비성파, 현공사화파,투파등)에서 여러 가지 추론기법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닌 것이고, 또 자미두수라는 술학 내에서도 어떤 부분은 아직까지도 베일에 싸여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다행이 민국 초 관운주인의 “斗數宣微”. 50년대 초 홍콩에서 육빈조 선생의 “자미

두수강의집”이 나오면서부터 사람들 사이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많은 문파에서

많은 연구와 더불어 좋은 책들을 앞다투어 선보이고 있다. 결과 현재 대만,홍콩

에서는 추명학 하면 당연히 자미두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자평명리를 한다 해도 두수와 겸해서 추론하는 星平合參성평합참이 대세이다.

그 이유는 자미두수라는 술학이 星이 많고 복잡하기는 하지만 한 개인의 성격,용모

부귀빈천뿐 아니라 육친관계까지 세밀하게 알수 있으며, 어떤 사안에 대해서

그 사건의 결과만이 아닌 어떤 원인에서 발생된 사건인가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는

정밀한 메카니즘 때문에 더욱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또 한가지 눈여겨 볼 것은 사실 우리나라에도 이미 조선시대에 자미의 大家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深谷심곡(1577~1625)선생은 조선 선조 때 대제학까지 지내신

학자로서 그 분이 남기신 深谷秘訣심곡비결은 두수계에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자미두수란 말이 낯설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국에서 부터 시작한 별의 학문은 삼국지등의 책에서 부터 널리 알려져 있으며, 공명 선생의 운명등의 예를 별자리로 점쳐온 중국인들의 행위를 접한적은 누가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자미두수는 별자리로 풀어보는 하나의 운명학이다.

과거에 운명의 번성과 쇠퇴를 점쳐온 자미두수가 현세에 와서는 (오래된 역사를 토대로) 한 개인의 특징과 해석 , 인연수풀이,길함과 해로움, 득이 되는 특징등 자세한 풀이로 발전하였다.

주성의 풀이를 포함하여 보조성에 이르기까지 자세한 풀이로 묶여진 것이 자미두수 운명학이다.

자미두수는 시골 한적한 곳에서 밤하늘을 음미하듯이 천천히 읽고 느껴야 하는 사주이다. 인생 전반에 걸친 운명학이기 때문에 하나하나 마음에 새기지 않으면 그 뜻을 마음에 곱게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우주가 곧 생명이고 그러한 우주속 무한한 기운을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마다의 기운을 별자리로 풀이했기 때문일 것이다.

자미두수는 실제 존재하는가?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자미두수는 실제 존재하는 별자리 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미두수는 실제 존재하는 별자리가 아니다.

밤하늘의 별자리를 아무리 찾아봐도 자미두수에서 말하는 14주성(자미성, 천기성, 태양성,태음성, 무곡성, 칠살성, 파군성,천동성, 염정성, 천부성, 탐랑성, 거문성, 천상선, 천양성)과 보조성등은 찾을 수가 없을 것이다.

실제로 자미두수에 등장하는 별들이 과연 어느 하늘에 붙어 있는 별자리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늘의 이곳 저곳을 천체 망원경으로 살펴 보았으나 그 어느 곳에도 자미두수에 나오는 아름답고 화려하다는 별들은 찾을 수 없었다.

그렇다면 어떻게해서 이 자미두수에 나오는 별자리 들이 등장한 것일까?

그것에 대해 알아보면 자미두수의 창시자인 진희이(陳希夷 : 867-984)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했으며 주부시(향시), 생시에 급제하였다고 한다. 자미두수는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여러가지 명리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보안 되었다.

또한 자미두수는 2시간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현실생활에 활용도가 높아져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것이다.

그러나, 모두 알다시피 자미두수는 중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의 시간차이를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로, 대체적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시간차이는 30분 정도라고 봐도 무난하다.

자미두수 이야기

자미두수는 중국에서 전래되어 온 점술의 하나이다. 중국에서의 자미두수의 위치는 상당히 명성이 높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많은 사람들이 알지는 못하지만 중국에서는 커다란 명성을 얻었다.

우리나라에 사주가 있다면 중국에는 자미두수가 있다. 우리나라는 한 사람의 운명을 살피기 위해서는 사주 즉 생년월일시를 육십갑자, 천간지지등 여러 방법으로 풀어내지만 중국에서는 자미두수를 통해서 한 사람의 운명을 알아본다.

사주의 경우는 한 사람이 태어나서 어떠한 운명으로 살아가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하지만 자미두수는 그 풀이로 하여금 그 사람이 태어난 생년월일시를 알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생년월일시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언제 죽었는지까지 알 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자미두수의 수준은 아직 그렇게까지 발전되지는 않았다. 생년월일로 그 사람의 운명을 조금이라도 아는 수준까지이지 한 사람의 생년월일시와 사망 시간을 맞추지는 못한다. 앞으로는 우리나라의 자미두수도 많이 발전해야 겠지요…

자미두수를 푸는데 재밌는 사실이 하나가 있다.

자미두수 풀이에도 코리아타임과 썸머 타임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미두수는 중국에서 건너왔다는 것은 위에서 말했을 것이다. 그런데 자미두수는 시간을 그대로 쓴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시간을 조금 변경했다.

우리가 쓰는 시간과는 조금 다르다. 물론 자미두수를 푸는 것은 양력을 기준으로 한다.

시간을 변경해야 한다는 것도 놀라운 사실이지만 우리가 이렇게 시간을 변경해야 하는 이유가 다름 아닌 일본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일제시대 이후 시간이 조금 바뀌었다. 즉 태초에 쓰던 시간이랑 현재 쓰고 있는 시간이 조금 다르다는 말이다. 우리나라가 일제 시대를 겪으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중에서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도 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일제 시대가 끝나고 한일 합방이후 시간을 중국이나 일본 두 국가 중에 하나로 바꾸어야 됐는데 우리나라는 일본 시간을 따르게 되었다.

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동경 몇도니 하면서 매우 복잡하니 결과만 말하자면 우리가 태초에 쓰던 시간보다 일본식 시간 계산으로 하여 30분이 빨라졌다. 이 빨라진 30분의 시간, 이 시간을 코리아타임으로 계산을 해야 한다. 우스개 소리로 이 30분 때문에 사람들이 항상 약속을 30분 늦게 나오게 되었나 보다.

코리아 타임 이외에 다시 시간 계산에 다시 적용해야 할 것이 썸머타임이다. 썸머타임의 적용도 이와 비슷한 이유인 것 같은데, 1948년~1960년의 13년과 1987년,1988년 이렇게 모두 15년의 썸머타임을 적용해서 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이렇듯 자미두수를 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코리아타임과 썸머타임을 계산해서 시간을 풀어야 한다.

코리아 타임이라는 이 30분을 무시하고 그냥 풀이를 한다면 자미두수의 풀이는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자미두수란 무엇인가?

역학이나 사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도 자미두수란 말은 생소할 것이다.

일반인들은 더욱이 자미두수란 것이 사주나 역학처럼 하나의 인간의 사주와 관련된

풀이라는 것인가 하는 근접한 생각마저 하기 힘들 것이다.

자미두수라는 것은 쉽게 풀이하자면 별의 모양과 생김새 움직임을 보고 풀이하는

하나의 학문 즉 별점을 말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하늘의 별의 모양과 움직임이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므로 자신의 태어난 시기에 따른 별자리를 알아야 한다.

별자리를 알아보는 것이므로 서양사주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겠으나, 자미두수의 시초를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중국에서 전해 지는 학문으로 서양의 사주는 아니다.

다시 앞의 이야기로 돌아가자면 자미두수를 풀이한다라는 것은 별자리의 모양과 자리를

이해하고 짚어보는 것이므로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시하게 다뤄지는 부분은 별의 배치도인

명반이라는 것이다.(명반에 대한 설명은 다시 언급하기로 하자)

이렇듯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자미두수는 그 학문을 알고 배우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난관이 있다.

아직 그 학문의 깊이와 인지가 널리 알려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도 자미두수를 연구하고

그 신비로움에 매번 감탄을 하게 되는 아주 광대하고 오묘함을 가진다.

우주의 섬리가 인간이 과학으로는 절대 설명 불가능한것을 내포하고있기 때문에 자미두수도

마찬가지로 하늘의 기운을 읽는다는 것은 그리 간단하고 단순한 것만은 아니며

쉽사리 그 모습이 단정지어지기 또한 어려운 것이다.

자미두수에 대해 조금 더 깊게 들어가자면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자미두수는 중국에서

내려오는 하나의 운세풀이이다.

자미(紫微) 즉 자미성(紫微星)에서부터 영성(鈴星)까지 그 운세의 흐름에 맞게 개인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깊게는 인연수, 방위 등의 운세를 총괄하여 풀어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이것을 들어가보면 자미성의 경우는 자미두수에서 가르키는 별자리 운세중

한가지를 말하는데, 기토에 속하며 음의 기운을 뜻하는 것으로써, 이런 자미성의 운세를

가진자는 분위기에 쉽게 몰입하는 만큼 인연을 깊게 지속시키지 못하고 순간적인 판단의

흐름을 갖는 경향이 짙다.

또한 여자가 자미성이라면 음한 만큼 냉기가 있어 인연을 맺을시 양의 기운이 강한 남자와

합궁을 갖는 것이 좋다.하지만 합궁을 갖는 다 하여도 보통, 음식으로는 술을, 자연적인것으로는 나무를, 시기로는 밤1시 기점에 합궁을 가져야 아이의 운세의 흐름이 좋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자미두수는 자신에게 복을 불르는 기를 한층 더 북돋아 줄 그 방향과 물건,때와 시,

인연수를 짚음으로써 당신의 인생을 조금더 복되고 길하게 이끌어 감에 그 목적이 있다.

자미두수의 이해

자미두수란 말을 지금까지 살면서 사주나 궁합, 토정비결 등과는 달리 처음들어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만큼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학문이 자미두수이다.

또, 그만큼 어려운 학문이 자미두수 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역학과 관련된 학문 중에서 자미두수가 가장 어려우며 가장 오묘한 진리를 담고 있다는 것을

자미두수를 접한 사람이라면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정확하고 신비로운 자미두수가 왜 지금까지도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이

되어 있지 않았을까?

그 원인을 나름대로 분석을 해서 얻은 결론은 이렇다.

과거의 우리선조들은 먹고살기 바쁘고 그래서 여러가지 일을행하고 사주를 점치고 하는것도

내가 배부르고 내가 어떻게 살것인가를 중점적으로 보았으며 풍수지리라던지 하는 조상들의

묘와 집과 관련된 것도 궁극적인 자신의 목적은 자신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여기서, 그럼 자미두수도 인간의 살아가는 길을 제시하는 것인데 왜 아무리 어렵다 하더라도

자미두수로 인간사를 풀지 않았는냐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렇다.

사람들은 자미두수로 인간사를 잘 풀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자미두수도 물론 인간사의 전체적인 면을 다루기 때문에 사람의 전체적인 운을

볼 수 있지만 그것보다도 더 중요시 한 것은 인간사 중에서 인연의 수를 더욱 중요시 했기

때문에 과거의 선조들은 자미두수를 점점 멀리하지 않았나 싶다.

거기에 학문의 어려움이 더해져서 더욱더 일상생활과는 멀어지지 않았나 싶은 생각을해본다

물론 과거에도 자미두수를 꾸준히 연구하고 그것으로 인간사를 풀어보려는 사람들은 무수히 많았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것은 생활에 보급하기에는 사람들의 여건이 적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힘들고 그런판에 어찌 사람과의 인연을 먼저 생각할 수 있었다는

말인가….

그렇지만, 그 힘든 여건속에서도 자미두수가 지금껏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와중에서도

인연의 중요함을 아는 사람과 자미두수의 학문적인 가치를 중요시하게 생각하는 선조들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자미두수는 태어난 년월일시로 운세를 푸는 것 뿐만 아니라 자미두수에서 가르키는 별자리의 성의 기운을 음과 양으로 풀이하여 남, 녀간의 인연수 풀이에도 활용할 수 있다.

배우자간의 합궁의 시기,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때를 알아서 배우자를 선택하고 보다 나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이런 어려운 자미두수를 쉽게 접근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곰곰히 생각해 보았는데 결론은 아주 쉬운데서 나올 수 있을 법하다.

자미두수를 믿고 그 진리를 따라가는 것이 정답이 아닐까 싶다.

물론 이런 정형화되어 있는 학문을 따라가라는 것이 어패가 있을수있으나 그런 눈에 보이는

것을 따라가라는 것이 아니라 그안에 숨어있는 삶의 진리를 찾아 그것을 쫓아 실천을 한다면

그것이 자미두수를 쉽게 접근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믿음이 중요하다. 그 믿음을 먼저 확인하고 자미두수의 오묘함을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접근은 자미두수를 자칫 오해의 구렁텅이로 빠트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운세접근방법

자미두수는 태어난 년,월,일,시에 해당하는 별자리의 풀이를 보는 것으로

자미두수로 운세풀이 접근방법은

대한보는 법, 연운보는 법, 월운(月運), 일운(日運), 시운(時運) 보는 법이 있다.

연운과 월운과 시운은 말 그대로 년(年)마다 돌아 오는 운세, 월운은 달마다 돌아오는 운세,

그리고 시운은 시(時)마다 돌아오는 운세를 말한다.

년, 월, 시, 그리고 대한운으로 보는 자미두수에 그치지 말고 명반과 보조성등 총괄적인 풀이로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자미두수로 운명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大限) 10년동안의 운세를 말하고 12운은 평생운을 나타낸다.

연운은 일년 동안의 운세를 뜻한다. 월운(月運) 한달마다의 운세를 뜻한다.(月限) 일운(日運) 하루마다의 운세를 뜻한다.(日限) 시운(時運) 두 시간마다의 운세를 뜻한다.

대한 보는법

대한(大限)을 찾는 방법으로는

첫째, 자신의 오행국을 찾는다.

둘째, 명운에서 시작을 한다.

셋째, 생년간지,남자,여자로 양간,음간을 알아본다.

오행국과 12운성

五行局 수2국 목3국 금4국 토5국 화6국 順 陽男 陰男 陽男 陰男 陽男 陰男 陽男 陰男 陽男 陰男 逆 陰女 陽女 陰女 陽女 陰女 陽女 陰女 陽女 陰女 陽女 장생 신 해 사 신 인 목욕 유 미 자 술 오 진 유 미 묘 축 관대 술 오 축 유 미 묘 술 오 진 자 임관 해 사 인 신 신 인 해 사 사 해 제왕 자 진 묘 미 유 축 자 진 오 술 쇠 축 묘 진 오 술 자 축 묘 미 유 병 인 인 사 사 해 해 인 인 신 신 사 묘 축 오 진 자 술 묘 축 유 미 묘 진 자 미 묘 축 유 진 자 술 오 절 사 해 신 인 인 신 사 해 해 사 태 오 술 유 축 묘 미 오 술 자 진 양 미 유 술 자 진 오 미 해 축 묘

양간/음간

남자 여자 순행 갑,병,무,경,임년생 을정기신계년생 역행 을정기신계년생 갑,병,무,경,임년생

연운 보는법

주성과 보조성으로 판가름한다.

장성 반안 세역 식신 화개 겁살 재살 천살 지배 함지 월살 망신 인오술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신자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산유축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해묘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우 술 해 자 축

세건 회기 상문 관색 관부 소모 대모 용덕 백호 천덕 조객 병부 자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축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인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묘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진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사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오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신 사 미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신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해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둘째로 소한은 아래의 표에서 해당하는 12지를 찾아 그 궁지를 본다.

年支 자년 축년 인년 묘년 진년 사년 오년 미년 신년 유년 술년 해년 남

기 자오묘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인신기해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잔술축미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기 자오 술 유 신 미 오 사 진 묘 인 축 자 해 묘유 진 묘 인 축 자 해 술 유 신 미 오 사 인신 오 사 진 여 인 축 자 해 술 유 신 미 기해 자 해 술 유 신 미 오 사 진 묘 인 축 진술 인 축 자 헤 술 유 신 미 오 사 진 묘 축미 신 미 오 시 진 묘 인 축 자 해 술 유

월/일/시운 보는법

◑ 월운보는 법

연운(태세)운이 닿는 궁지가 1월 자시생의 1월 운세이다.

예를들어 설명해보면,

1998년(무인년)인 4월 진시생의 월운을 본다면, 연운(태세)인 궁지 자에서 역행으로 궁지 해,술,유,신으로 나아간다. 4월생은 유에 닿는다.

유궁이 4월이 자시생의 자리이므로 그 자리에서 다시 순행으로 자신의 시를 짚어간다.그러므로 자시생은 유, 축시생은 술,인시생은 해,묘시생은 자,진시생은 축궁이 무인년의 1월의 운세이다. 따라서 무인년의 4월 진시생의 월운은 자신의 운명도 축궁이 1월,인궁이 2월 순으로 이어진다

◑ 일운보는 법

월운 보는 법과 연관돠어 누구나 1월운이 닿는 곳이 정월 초하루이다.

1998년(무인년)에 4월 진시생이 3월 4일의 월운을 본다면

월 궁지는 축,2월 궁지는 인,3월의 궁지는 묘이므로 3월 1일은 묘궁,2일은진궁,3일은 사궁,4일은 오궁이 된다.

그러므로 달이 달이 시작되는 곳이 1일이 되어서 1월운에는 1일,13일,25일이 겹친다.따라서 사궁에는 4일 16일 28일이 겹치는 것이다

◑ 시운 보는 법

일운 보는 법과 연관되어, 일운이 닿는 곳이 자시가 된다.월운과 같은 방법으로 순서대로 짚어나간다

사화성의 작용

사화성이라 일컬어지는 운세의 흐름에 좌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자미두수인데, 이 사화상은 화록(化祿),화권(化權),화과(化科),화기(化忌)로써 십간사화(十干四化)라고도 하며 14주성에 따라붙어 특정한 작용을 하는 보조성이라 할 수있다.

ex) 1.화권성(化權星)의 경우에 자(子)이면 액하게 작용하고 반대로 축(丑)의 경우에는 강하게 작용하여 .. 설령 보조성이 함께 하여진다 하더라도 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2.화과성(化科星)의 경우에는 사(巳)가 거의 작용을 하지 않게 되고 오(年)의 경우 불리한 보조성이 . 함께 하여 그 작용이 매우 좋지 않은 경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화성의 작용을 하는 자미성에는 화록성,화권성,화과성,화기성이 있으며 그 성좌별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

화권성(化權星) 의 경우는 이기심이 강하고 지독히 고집스러움을 갖고 남의 입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반대로 그만큼 시험등에는 많은 발전을 받는 것이 이 성좌인데, 보통 이런 사람이 위치에서 실세를 쥐는 경우가 많다.비슷하게 화과성(化科星)의 경우도 출세등에 아주 민감하고 작용자체가 좋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 성좌는 사람의 다스림이기보다는 귀인에 의해서, 혹은 뜻하지 않는 설정등에 의해서 승진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상대적 기운을 풀어보는 것이 자미두수의 사화성이라 할 수 있으며, 사화성은 다음과 같다.

화록성

(갑 – 염정), (을 – 천기), (병 – 천동), (정 – 태음), (무 – 탐낭), (기 – 무곡), (경 – 태양), (신 – 거문), (임 – 천양), (계 – 파군)

화권성

(갑 – 파군), (을 – 천양), (병 – 천기), (정 – 천동), (무 – 태음), (기 – 탐낭), (경 – 무곡), (신 – 태양), (임 – 자미), (계 – 거문)

화과성

– (갑 – 무곡), (을 – 자미), (병 – 문창), (정 – 천기), (무 – 우필), (기 – 천양), (경 – 태음), (신 – 문곡), (임 – 좌보), (계 – 태음)

화기성

(갑 – 태양), (을 – 태음), (병 – 염정), (정 – 거문), (무 – 천기), (기 – 무곡), (경 – 천동), (신 – 문창), (임 – 무곡), (계 – 탐낭)

화록성

묘왕은 인신사해이고,실함은 진술축미,자오묘유이다.

화록성의 별의 성격은 천공,지겁이 함께 하면 수명을 관장하고 총명하며 식량(食量)과 재물을 나타낸다.

불리한 작용으로는 고단,고달프다.14주성의 성상에 의해 불리함을 도모한다.

자(子)

약하게 작용한다.

인(寅)

상약하게 작용하지만 유리하다. 불리한 보조성과 함께 하면 아무 힘을 발휘하지 못해 아무 소용 없다.

진(辰)

작상당히 강하게 작용하지만 인(寅)과 같이 불리한 보조성이 있다면 좋지 못하다.

사(巳)

인(寅)과 같은 작용을 한다.

오(午)

자(子)와 같은 작용을 한다.

신(申)

용이 아주 미약해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유(酉)

자(子)와 같은 작용을 한다.

◎ 자미두수와 사회성과의 이해

자미두수는 60갑자에 대한 이해로써 나를 포함하여 상대적인 인연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각자 자신의 운세와 특징을 살펴본다면, 사회성에 있어서 해가되는 사람과 득이 되는 사람과의 구별을 통해 한층 더 발전된 사회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지나친 구별로 사회성에 빨간 신호가 들어온다면 그 또한 잘못된 사회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흐름과 기운을 구별하여 사회성 발전에 기여하는 것 또한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화권성

화권성은 한마디로 말해 사업운을 말한다. 이 별은 사회생활에 있어 직장이나 그 직장에서 차지하는 자신의 위치등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 이 별은 진취욕이나 승부욕이 강한 근성 때문에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을 하는데 있어 이 별의 움직임을 받는다면 그 분야에서 권세를 누릴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할 수 있다.

다만 남을 생각하지 않는 성격도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성격을 배제하지 못한다면 사업을 함에 있어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아래는 각 해에 해당하는 화권성의 작용을 나타낸다.

자(子) 약하게 작용한다. 축(丑) 꽤 강하기 때문에 어떠한 보조성이 붙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강하게 나아갈 수 있다. 인(寅) 그 작용이 꽤 느리긴 하지만 불리한 보조성이 붙더라도 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묘(卯) 좋은 쪽으로 영향을 받지만 불리한 보조성이 붙게되면 이에 대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미(未) 좋은 작용으로 영향을 받으나 불리한 보조성과 함께하면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신(申) 약하게 작용한다. 유(酉) 약하게 작용한다. 술(戌) 꽤 강하게 작용하지만 불리한 보조성이 붙게 되면 이에 영향을 받아 어려움이 생길수도 있다.

화과성

화과성은 쉽게 말해 시험운을 말한다.

모든 시험에 있어 이 화과성의 점괘를 지니면 유리하게 작용하여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또한 이 별은 체면이나 매너등을 중시해야 한다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남들 앞에서 예의바르게 행동하기 때문에 주의 사람들로 부터 칭찬이나 좋은 인상을 심어주게 된다. 이는 귀인을 만나는데에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아래는 각 해에 해당하는 화과성의 작용을 설명한 것이다.

축(丑) 꽤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좋지않은 보조성이 따라 붙게 되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진(辰) 상당히 강하게 작용하는 반면에 좋지않은 보조성이 따르게 되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기게 된다. 묘(卯) 좋은쪽으로 작용하긴 하지만 좋지않은 보조성이 따르면 이에 큰 영향을 받는다. 사(巳) 거의 작용이 없다. 오(午) 크게 작용하지는 않지만 불리한 보조성이 붙더라도 큰 타격을 받지 않는다. 유(酉) 오(午)와 마찬가지로 작용은 그리 크게 주지 않지만 좋지 않은 보조성이 붙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술(戌)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불리한 보조성이 붙어도 아무런 해가 없다.

화기성

갑 – 태양 을 – 태음 병 – 염정 정 – 거문 무 – 천기 기 – 문곡 경- 천동 신 – 문칭 임 – 무곡 계 – 탐낭

묘왕을 자, 축, 신, 미이고, 실함은 사, 해, 인, 오, 술이다.

★ 화기성 별의 성격

딱잘라 말한다는 좋지 않은 작용을 한다.

즉, 스스로 재난을 불러 들여 나쁜 행동을 하고, 질투와 남에게 잘못을 돌리는 행동의 작용을 한다.

인(寅), 묘(卯), 사(巳), 오(午), 해(亥)등이 흉 작용을 한다

명반과 명반 구성도

◑ 명반이란?

자미두수라는 것은 하늘에 있는 별이 인간의 운명과 길흉화복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우주의 별자리의위치와 별의 밝기등이 제 각기 다르듯이 인생의 길흉화복 또한 각각 자신의 태어난 시기에 의해 달라질수 있다는 것이 자미두수의 기본 이론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자신의 운세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태어난 시기의 별자리를 알아야 하는데 이러한 별자리를 배치하는 양식을 명반이라고 한다.

명반을 작성할 때에는 반드시 자신의 생년월일시를 알아야 한다.(이는 반드시 음력이여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생년월일시를 천간지지로 표시해야한다. (이는 만세력이나 육십갑자등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975년 7월 13일 새벽 6시생을 을묘년 7월 13일 묘시생 그러한다음 자신의 지지를 표시한 표가 필요하다.

이 표에 각 지지를 표시하고 이를 궁(宮)이라고 부른다.

자에 해당되면 자궁(子宮)이라고 부르고 묘에 해당되면 이를 묘궁(卯宮)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12궁은 그 위치와 이름이 변하지 않는다.

◑ 명반 구성도?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진(辰)

유(酉) 묘(卯) 술(戌) 인(寅) 축(丑) 자(子) 해(亥)

이런식으로 구성된 명반은 태어난 달과 시각으로 인간운세를 결정지어주게되고 바뀌어지게 되는것이다.각 위치에 들어간 12궁은 하나씩의 의미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사(巳)

주거

오(午)

관록

미(未)

교우 신(辰)

평가 진(辰)

복덕

유(酉)

건강 묘(卯)

부모

술(戌)

재백 인(寅)

명운 축(丑)

형제 자(子)

부부 해(亥)

자녀

12궁이란 무엇인가?

1. 명운 : 용모,성격 특히 본성,장래와의 약속.적성,어린시절의 성장환경등을 나타내준다.

2. 부모운: 부모와의 인연,그리고 용모,성격등을 나타내준다.

3. 복덕운: 원래는 5복과 수명.생활의 여유,취미등 대궁이 재백운이어서 잠재력에 대한 사안등을 나타내준다.

4. 주거운: 주거환경,부동산관계,가정생활등,여성의 성생활등을 의미한다.

5. 관록운: 직업관계,직위의 높낮이.적성.학력이수관계.대궁이 부부운이어서 함께 부부생활. 그리고 자기통 제력등을 나타낸다.

6. 교우운: 친구,선후배관계,고용관계.대인관계에서의 길흉사등을 나타낸다..

7. 평가운: 신변이동에따른 인과관계.잠재되어있는 나에대한 선입견등 평가등을 나타낸다.

8. 건강운: 걸리기쉬운 질병.그에대한 치유여부.건강일체등을 나타낸다.

9. 재백운: 한마디로 돈복.재테크. 경제생활등을 나타낸다.

10. 자녀운: 자녀와의 인연. 자녀의 용모,성격등을 나타낸다.

11. 부부운: 배우자와의 인연,배우자의 용모,성격등을 나타낸다.

12. 형제운: 형제와의 인연,형제의 용모,성격등을 나탄낸다.

14주성에 대하여

자미두수는 14주성과 보조성이 가지고 있는 성향을 따르는 운세이다.

주성에 대한 운세풀이와 좋은 조건과 작용, 인연수 풀이, 주성의 특징과 상징이며 보조성은 그 보조성의 특징과 재물은, 사회생활, 금전운등을 풀이한다.

14주성에는 자미성, 천기성, 태양성, 태음성, 무곡성, 칠살성, 파군성, 천동성, 염정성, 천부성, 탐랑성, 거문성, 천상성, 천양성 ,보조성에는 녹존성, 천융성과 천괴성,경양성,타라성, 재공성, 천마성,천희성과 홍난성,천허성과 천곡성,천허,천상성과 천사성, 좌보성,우필성 문창성 문곡성, 천공성과 지겁성이 있다.

아래의 주성은 몇가지 주성의 부분적인(의미적인)부분만의 내용으로 구성된 것이다.

자세한 풀이 -주성의 특징-조건과 작용-길함-해로움-특징-보조성-인연운등의 분류된 풀이는 자미두수 풀이에서 직접 확인하길 바란다.

자미성(紫微星)

자미성은 여러가지 특징을 가지는 별로 일컬어 진다. 또한 자리하는 위치에 따라서도 해석이 달라지는 별자리로 알려져 있다. 이 별자리는 빛으로 비유하자면 푸른 계열에 가깝고 계절에 비유하자면 오곡백과가 풍성한 가을에 비유할 수 있는 별자리라 하겠다. 주로 이 별의 기운을 가진 사람은 내적으로 부실하여 배타적인 성향을 많이 띄는 사람들이 많고 보통은 다툼을 싫어하며 혼자 조용히 있는 성격을 가진 사람으로 음의 기운을 많이 지니고 있다. 내적인 면은 작고 소극적이나 겉으로 드러나는 면모는 크게 가지니 높은 자리에 오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그릇이 작은것이 드러나게 되니 주변에 쉽게 동요하고 상황에 타협이 쉽게 되어 성장을 하는 것은 적고 그저 그 자리만 지키게 되는 것이 흠이라 하겠다.

천기성(天機星)

천기성의 기운은 강하다. 강하다고 표현되는 많큼 구분이 확실하게 주어진다.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의 구분의 명확하며 항시 자신의 기분이나 의사 표현도 명확하다. 이러한 기운을 가지게 되어서 주변에는 적과 친구가 확연하게 나뉘는 것 또한 특징이라 하겠다. 속내를 감추는 법이 없고 그대로 드러내게 되니 주변에서 당신을 알게되면 오히려 편안하게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러나 잘못 받아들이게 되면 오해가 크게 되며 상극이 되어 항시 걸림돌이 될 수 있겠다.

태양성(太陽星)

밝은 기운을 내 뿜음에 있어 쉼이 없는 것이 이 성의 특징이다. 항시 밝은 면을 비추며 여러 분야에 좋은 기운을 보태어 주는 영향이 크다. 항시 나쁜기운은 없고 불의와 타협이라는 것은 생각지도 못할 만큼 청렴 결백하고 밝은 기운을 지니고 있다. 항시 주변을 감싸 안는 기운이 강하게 되니 주변이 당신으로 인해 덕을 많이 받는다.

무곡성(武曲星)

겉으로 보았을때 아주 불안정한 기운을 가진 사람들의 기운이 여기에 속한다. 불안정한 기운으로 뭉쳐진 것이기 때문에 신경이 매우 예민하고 다혈질적인 입장이 된다.

일반적으로 마른 체격의 사람들이 보통 여기에 속한다. 인정이 많고 생각이 많아 무디면서도 지혜롭다. 음금이 많아 자칫 탐욕스러운자가 되면 매우 비판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 성격의 변화가 극과극을 주체로 움직이며, 재물운을 스스로 관장하니, 토끼띠와 용띠를 만나면 인연이 된다. 이런 사람은 사람들에게 말수를 죽이고 스스로 감추는것이 많아야 유리하다.

염정성(廉貞星)

염정성은 공격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지닌 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염정성을 지닌 사람은 충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욕망이 강하고 대쪽같은 성격으로 자신의 신념이 한 번 서면 절대로 굽히지 않고 타협을 모르며 때로는 기운이 강하게 작용을 하게되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밀고나가는 무대포적인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탐람성(貪狼星)

탐랑성의 기운은 흔히 말하는 선발대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중심에 있어서 그 중심을 주도한다기 보다는 그 중심이 나아가야 할 바를 먼저 가보고 문제가 있나 없나를 본 후 제시해 주는 제갈공명과 같은 기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로인해 탐랑성의 기운을 지닌 사람이 잘못된 길을 걷게 되면 그가 속한 모든것은 어두운 구렁텅이로 빠질 수 있으며 좋은 길을 걷게 되면 그가 속한 모든 것들도 순탄한 길을 가게 될 것이다. 이를 바람에 비유를 하게 되면 바람이 순풍이 되느냐 역풍이 되느냐는 탐랑성의 기운을 지닌 사람의 몫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거문성(巨門星)

거문성의 성격을 지닌 당신은 태양과 같은 뜨거움과 누구도 범접하지 못할 당당함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걷으로 드러나는 기운과는 상반되게 남들에게 보여지는 부분에 있어서는 꼬리만 보여지기 때문에 자신의 의지와는 상반되게 남들에게 표현이 된다. 그만큼 살아가는데 어려움이 있고 위축을 당하게 될 것이며 이로인해 불편불만이 쌓이게 되고 이것이 터지게 되면 누구도 주체하지 못할 수가 있게 된다.

보조성에 대하여

자미두수 풀이를 보면 보조성은 주성과 연관을 맺고 함께 움직이는 별자리로 별자리의 기본적 설명을 몇가지 예로 말하니 참조하자.

왕초딩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어떤 여자가 미혼이고 남자 친구도 없는데, 언제 結婚하겠느냐고 묻는다. 만일 내년에 결혼할 것이라 하였는데, 다시 남편이 어떤 사람인가 물으면, 어떠한 관점에서 판단해야 하는가?

[答] : 이는 간단하다. 본명반 夫妻宮에서는 얼굴형을 보고 , 대궁의 官祿을 본인으로 간주하여 個性을 살피고, 夫妻의 疾厄에서는 성질을 본다. 키, 얼굴형, 개성은 星性을 보고, 성질이나 용모는 夫妻의 疾厄 四化로 살핀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다음은 Bing에서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 사주 배우자
  • 사주 배우자 나이
  • 사주 배우자 연령
  • 사주 배우자운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YouTube에서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주에서 배우자의 나이 살펴보는 방법 | 자미두수 배우자 외모,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