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8369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prairiehousefreem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prairiehousefreem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LANstar랜스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8,230회 및 좋아요 47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늘 작고 작은 저희 회사 사무실의 네트워크만 보여드리다가 이렇게 규모가 있는 회사의 네트워크 포설 방식을 보여드릴 수 있게되었네요!
[제품정보]허브랙 캐비넷 https://bit.ly/2U0zxm7
캐이블 정리 판넬 https://bit.ly/2yu9eMY
[My Channels]https://www.youtube.com/c/랜스타LANstar
[Facebook |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lLANstar/
[Instargram l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lanstar01/
[For Business E-MAIL][email protected]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우리 회사에 맞는「네트워크 환경 구성법」 – 지디넷코리아

이번 글에는 네트워크의 구성장비의 역할과 설치방법, … 전세계적으로 네트워크나 서버에 대한 구성도를 그릴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zdnet.co.kr

Date Published: 5/26/2022

View: 8100

네트워크 구성

보기도 좋고요. ▷ 네트워크 구성도. 이제는 우리 회사의 네트워크와 다른 회사의 네트워크를 연결시켜보겠습니다. 컴퓨터를 허브에 연결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도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gajok2.co.kr

Date Published: 6/10/2022

View: 7547

네트워크 연결과 구성요소 – Catsbi’s DLog

네트워크 구성 요소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케이블과 커넥터 · 허브 · 스위치 · 라우터 · 로드 밸런서 · 보안 장비(방화벽/IPS) · 기타(모뎀/공유기 등).

+ 여기에 표시

Source: catsbi.oopy.io

Date Published: 8/25/2022

View: 8225

[기업 네트워크 침투] – 네트워크 구성 이해 – 보안청

[기업 네트워크 침투] – 네트워크 구성 이해 … -방화벽 (firewall / FW) : 외부로 부터 내부망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 요소 하나로 패킷 필터링을 통해서 …

+ 여기를 클릭

Source: boanchung.tistory.com

Date Published: 12/28/2021

View: 584

1-1. 네트워크 구성도 살펴보기 – velog

모뎀(네트워크 장비) · 공유기 · 단말기(ex.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톱 등).

+ 더 읽기

Source: velog.io

Date Published: 10/2/2022

View: 251

우리 회사에 맞는「네트워크 환경 구성법」 – L2J with DuraBoys

이번 글에서 알아볼 내용은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과 역할 및 장비구성 변경 … 으로 네트워크나 서버에 대한 구성도를 그릴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l2j.co.kr

Date Published: 9/15/2021

View: 6755

네트워크 기초 1장(누구를 위한 네트워크인가?) – choiDev

사회성은 “기업이 사회에 제공한다는 마인드”를 뜻한다. ​. –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규모. ​ 가정용 연결 구성도. ADSL …

+ 여기에 보기

Source: choidev-1.tistory.com

Date Published: 4/29/2022

View: 973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 Author: LANstar랜스타
  • Views: 조회수 38,230회
  • Likes: 좋아요 478개
  • Date Published: 2019. 4.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lj79dN-kL8

우리 회사에 맞는「네트워크 환경 구성법」

질문: 3com 허브를 여러 대 사용하고 있는데 허브와 허브 간의 케이블을 일대일로 연결하고, MDI, MDIX 버튼을 눌러서 링크를 확인하곤 했다. 허브를 3대정도 연결한다고 가정하고 허브 간의 연결법 등에 대해 알려달라.

답변: 허브의 포트 수가 모자랄 경우 확장하는 방법을 보면 첫 번째 크게 더 많은 포트를 가진 장비로 교체, 두 번째는 허브와 허브 사이를 LAN 케이블로 확장, 세 번째는 전용 케이블을 이용해 확장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두번째 방법을 많이 사용하며 이를 Cascade라고 한다.

허브와 허브/스위치는 같은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므로 크로스 링크가 필요한데, 두 장비의 포트를 크로스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한쪽 장비의 Uplink.MDI-X 포트를 이용해서 연결하곤 한다. 일반적으로 Uplink/MDI-X 포트가 있는 경우에는 이 포트를 이용해서 다른 장비와 연결하는 것을 추천한다.

최근 출시되는 3Com 장비의 경우에는 모든 포트가 크로스/다이렉트 신호를 구분하는 오토 MDI-X 기능을 갖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스위치가 아닌 허브의 경우에는 4개 이상의 장비와 Cascade를 할 경우 데이터 에러가 많이 발생한다.

질문: 스위치 허브와 더미 허브는 가격 차이가 많이 나서 어떤 것을 구입할지 고민중이다. 사용 PC대수가 적을 경우 더미 허브를 사용해도 되는지 알고 싶다.

답변: 허브의 경우 어느 한순간에는 하나만이 통신할 수 있는 반면 스위치는 동시에 여러 대의 통신이 가능하다. 만약 스위치에 붙은 여러 대의 PC가 그 스위치에 붙어있는 한대의 서버에만 모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아무리 동시 통신을 지원해도 서버가 한대이기 때문에 별 효과가 없다. 마찬가지로 게임방의 경우 스위치에 붙는 모든 PC가 만약 모두 인터넷쪽으로만 나가려고 한다면 역시 병목현상은 인터넷쪽에 생기게 될 것이다.

하지만 원래 스위치는 모든 처리 방식이 허브에 비해서 지능적이라서 잘못된 패킷을 확인도 없이 그냥 보내는 허브와는 달리 잘못된 패킷을 걸러서 다시 보낼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에러 검출능력을 가진다는 장점도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의 수가 네트워크 장비 한대에서 처리 가능한 규모(4~24)라면 일반 더미 허브(Dummy Hub)로도 큰 문제가 없지만 그 수를 넘어가서 허브끼리 연결하는 Cascading이 필요하게 되면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질문: 소규모 회사에서 라우터와 스위치로 LAN을 구성해 사용하고 있다. NI 업체에서 3계층 스위치장비(L3 장비)를 도입하면 효율적으로 스위치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

답변: 소규모 네트워크라면 L3(3계층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L3 장비는 주요 서버 장비와 일반 장비, 혹은 부서별로 구분해 VLAN을 나누고 이 VLAN을 L3 장비를 통해 인터넷을 연결하게 하는 것이 L3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스위치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이 스위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는 같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하게 되는 것이고, 이 브로드캐스트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저하된다.

물론 하나의 네트워크에 너무 많은 호스트가 들어가도록 설계하는 것은 좋지 않은 설계이지만 현대의 네트워크 환경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대규모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어쩔 수 없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아주 많은 호스트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VLAN이라는 기능을 사용해서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스위치상에서 분리해주는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VLAN 간의 통신은 라우팅이라는 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라우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문제는 라우터가 스위치에 비해서 너무나 느리고 상대적으로 값이 매우 비싸다는 것이다. 주로 포트당 비용으로 따지면, 라우터는 스위치의 10배 가량의 가격이며, 속도는 스위치보다 보통 10배 느리다.

따라서 라우팅이 가능한 스위치를 만드는 것이 필요해진 것이고, 그 결과 L3 스위치가 등장하게 된다. 스위칭 장비이면서도 라우팅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물리적으로는 스위칭을 하며 논리적으로는 라우팅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만일 회사 내부에서 VLAN을 나누어 구성한다면 업체에서 말하는 대로 L3 장비를 도입하면 효율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반대로 VLAN 구성이 되지 않는 곳에서의 L3 장비의 도입은 낭비인 셈이다. 사용용도, 가격, 유지보수, 사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종합 검토해 결정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질문: 사무실에 컴퓨터 50여대가 NetBEUI를 사용 중으로 외부와의 통신을 전용회선 E1라인(2.048Mbps)으로 사용 중이다. LAN상에 브로드캐스트가 전용회선 E1 라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싶다.

답변: LAN에 구성된 50여대의 노드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브로드캐스트는 로컬 네트워크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NetBEUI의 경우 20~200대 정도의 중소규모 네트워크에 적당한 통신 프로토콜이고 노드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를 인식하는 것이 늦어질 수 있다. 그리고 E1 라인의 경우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보통이고,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브로드캐스트를 차단해 주므로 LAN에서의 브로드캐스트가 WAN 회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질문: 시스코4700 장비에서 외부망과 E1 두 회선을 사용 중이다. 라우터에서 sh 인터페이스 명령으로 확인하니 회선 사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오는데(46/255,40/255) 인터넷이 상당히 느리다. MRTG로 점검해보니 회선사용률은 두 회선 모두다 2M 정도 사용하는 걸로 나온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답변: 트래픽 풀 상태이다. 일단 회선을 증설해야 한다. 로드 46/255는 output에 대한 부분이다. input은 위와 같이 1,953,000bit/sec면 트래픽 풀 상태이다. E1이라도 시그널 및 제어 부분을 생각하면 1,953,000bit/sec이면 풀이 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회선 풀은 맞지만 우선적으로 회선을 증설하기 보다는 실제 사용되는 2M 트래픽이 정상 트래픽인지 패킷 분석을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요즘은 불량 트래픽들이 회선을 많이 차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불량 트래픽을 찾아내어 회선 대역폭을 확보할 수도 있다.

질문: 외부망인 WAN은 T1(1.5Mbps)으로 연결되어 있고 LAN 구간은 100M 스위칭 허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회사 내에 100명이 사용 중이라면 외부 인터넷을 동시 사용시 노드당 15Kbps의 속도만 사용할 수 있기에 10M 허브로도 충분하지 않은지? 또한 상대적으로 WAN 속도가 느린데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가?

답변: 통신은 항상 양방향으로 이뤄진다. 즉 WAN에서 LAN으로 접속한다고 해도 응답은 LAN에서 WAN이 발생하게 되며, LAN이 WAN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졌다고 해도 병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내망(LAN)에 서버와의 통신도 중요하므로 LAN은 더미가 아니 스위치 허브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네트워크 기초 1장(누구를 위한 네트워크인가?)

!여기서 잠깐 용어설명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공중전화망 상에 사설망을 구축

이용자가 마치 사설망, 전용망을 이용하는

서비스

VPN을 제공받은 기업은 자신이 망을 구축하고, 임의의 전화번호 쳬계를 구축할수있다

광역네트워크 (WAN : Wide Area Network).

-LAN과 대비되는 용어

-LAN은 빌딩하나의 버무이

-WAN은 도시1개의 범위

-LAN 과 LAN 사이는 Node가 존재한다.

쉬어가는 타임

기업용 네트워크구성은 산업마다 차이가 있다!!!!!

예시) 금융업이라면..? -> 보안중시! 기밀성! 이것이 대전제로 네트워크를 구성!

예시2) 제조업이라면…? -> CAD데이터, 대용량 데이터 송신이 잦다.

대용량처리를 위한 회선확보 및 음성과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만드는 네트워크가 필요

Network 1-1 최종정리!

– Network 이용자는 일반이용자와, 기업 이용자 2부류로 나뉜다.

– 네트워크는 이용하는 장소에 따라 가정용과 기업용으로 나누어진다

– 가정용과 기업용의 차이는 다음의 두가지가 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규모

– 서비스 프로바이더용 네트워크는 기업에 통신회선 서비스(wan)을 제공하기 위해 통신 사업자나 isp에 의해 구축된다.

1-2 네트워크 형태

1. LAN/WAN/MAN

– LAN (회사 건물내부, 가정내부 비교적 작은범위의 컴퓨터 Network)

– WAN(멀리떨어진 LAN 간을 이어주기 위한 네트워크)

(KT나 SK등의 통신사업자(광역 이더넷, IP-VPN)을 사용해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 MAN(LAN과 WAN의 중간 범위이다. LAN이 지역레벨 까지 확대한 것으로 도시형네트워크가 좋은예다)

2. 인트라넷

– 기업 내의 열려있는 네트워크

– 일반적 인터넷과 구별되어 사내 네트워크라고 불린다.

인트라넷의 기능?

1. 인사, 급여 데이터 처리

2. 재무, 회계 데이터 처리

3. 고객 정보 관리 데이터 처리

4. 사내 문서나 사내 정보 등이 파일 보관과 공유

5. 사내 포털 사이트 접속

6. 회의실 예약, 일정 관리 등의 그룹 웨어 관리

일반적으로 기밀성 높은 업무 애플리케이션이 사내 인트라넷으로 구성되어 운용 가능해진다.

Network 1-2 최종정리

– 네트워크 범위에 따라 LAN, WAN, MAN 3가지로 나뉜다

– LAN은 회사 건물 안이나 가정 등의 비교적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이다.

– WAN은 머리 떨어진 LAN 간을 서로 이어주는 통신 사업자 망을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다.

– 인트라넷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된 기업 내부의 독립적 네트워크이다.

1-3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

– 대규모 거점, 중규모 거점, 소규모 거점 3가지로 구분

거점별 분류

– 대규모 거점 : 5영역 이상 200포트 이상

– 중규모 거점 : 5영역 까지 100~200포트

– 소규모 거점 : 3영역 가지 50~100포트

소규모 거점 네트워크

– LAN과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세그먼트 3개 이내이다.

– WAN 회선

소규모거점은 인터넷VPN 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스위치(SWITCH)

L2스위치, L3스위치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소규모는 L2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영역은 한 개에서 두 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 라우터

소규모는 인터넷VPN을 사용하기 때문에 라우터의 역할이 크다

부정 패킷 방파제 역할

LAN상의 발생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 보안(방화벽)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 장비를 도입하지만 소규모거점은 라우터 기능을 쓰는 것이 대부분이다.

라우터의 패킷 필터링 기능을 사용한 간단한 방화벽

– IP전화

전화를 설치만 가능

사용은 대규모 거점에 음성서버가 있어야 사용가능

– 무선 LAN

무선 LAN 클라이언트, 무선 LAN AP, 무선 LAN 컨트롤러 이것들이 구성요소 3가지이다.

무선 LAN 클라이언트 : 무선 LAN어댑터를 탑재한 사용자 PC이다.

무선 LAN은 구성과 규모에 상관없이 클라이언트와 AP 똑같은 구성으로 간다.

중규모 거점 네트워크

– WAN 회선

중규모 거점에서는 네트워크 사용자수, 통신상대가 휠씬 늘어난다.

네트워크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화 구성을 고려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중규모 거점에서는 이중화나 서버 룸의 확보가 고려된다.

– 스위치

중규모 거점은 같은 층 포함 상하층 이나 수층 차이 나는 곳에 네트워크를 구성 할수있다.

인사 이동, 조직개편시 빠른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L2스위치는 VLAN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L3스위치를 사용해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 라우터

중규모 거점은 WAN회선이 이중화가 되어있어 나가는 출력도 이중화를 해야한다.

네트워크 구성으로 생각할수 있는 구성은 2가지가 있다.

하나의 라우터로 복수의 WAN 회선을 보유

l 하나로 구성시 회선문제일때는 백업회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라우터 고장시

WAN으로 전체 통신이 불가능해진다.

복수의 라우터로 각각의 WAN 회선을 보유

l 복수로 구성시 라우터 자체의 장애가 발생해도 운용에 아무런 지장 없이 통신한다.

대규모 거점 네트워크

– LAN과 사용자 단말

중규모보다 크다

세그먼트 수도 많아지고 최근에는 데이터센터가 그 기능을 가진다

– 스위치

대규모 거점의 영역에서는 라우터 만이 아닌 스위치의 이중화도 고려해야 한다.

총 4가지 구성을 고려해야한다.

스위치와 라우터

스위치와 서버

스위치와 사용자 PC

스위치간

– 보안(방화벽)

대규모 거점 방화벽은 전용 기기가 도입된다.

프로토콜 종류와 , 부정패킷 에 대응할 일이 소규모보다 많아진다.

– IP 전화

IP전화기는 물론, 음성서버도 설치된다.

음성서버 2가지

IP-PBX

SLP서버

음성 서버는 IP 전화기 간의 통화 중계를 담당한다.

– 무선 Lan

대규모 거점에서는 무선 LAN 컨트롤러를 도입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무선AP 수가 늘어나 설치 장소 관리, 무선 LAN AP간의 전파 간섭에 대한

대비책 등의 운용 관리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Network 1-3 최종정리

​- 기업용 네트워크 구성은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 거점으로 구분된다.

– 소규모 거점은 세 영역 이내의 단순 네트워크로 구성

– 중규모 복수 영역의 이중화 구성을 고려한 네트워크로 구성

– 대규모 거점은 여러 영역의 모든 부분에 대한 이중화를 고려한 네트워크 구성

키워드에 대한 정보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다음은 Bing에서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 랜스타
  • 라인업시스템
  • it
  • 컴퓨터
  • 스마트폰
  • 노트북
  • 컴퓨터장비
  • 주변기기
  • 캐비넷
  • 허브랙
  • 서버랙
  • 랙캐비넷
  • 랙 단자함
  • 단자함
  • 스위치 캐비넷
  • 스위치함
  • 스위치 단자함
  • 네트워크
  • 공사
  • 네트워크공사
  • 인터넷 설치
  • 인터넷 공사
  • 스위치허브
  • 공유기
  • 단말기
  • 모뎀
  • 서버실
  • 전산실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YouTube에서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사의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되어있을까? | 회사 네트워크 구성 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